‘수도권매립지 선제적 합의’ 관련 지역사회 매립 연장 반발 거세

인천시를 비롯한, 4자 협의체가 수도권매립지의 선제적 조치에 합의한 것을 두고 지역사회가 매립지 연장 여부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수도권매립지가 속한 서구는 11일 선제적 조치에 대해 “지난 20여 년간 매립지 인근 서구 주민들이 일방적으로 입은 환경적, 경제적, 정신적 피해 및 고통의 성과물”이라고 해석했다.

단, “합의문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일관되게 서구 및 인천 주민에게 강조됐던 ‘2016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원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매립 종료에 대한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매립지 주변 주민들로 구성된 ‘매립종료 인천시민투쟁위원회(투쟁위)’의 정경옥 공동위원장은 “유정복 시장이 한 달 전 매립 종료를 약속하고, 뒤통수를 쳤다”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투쟁위는 이번 선제적 조치가 사실상 유정복 시장의 ‘매립 종료 공약’ 파기라며 규탄 기자회견 등 단체행동을 예고했다.

선제적 조치 당사자인 수도권매립지공사 노동조합 선제적 조치 합의를 “나눠먹기식 흥정과 정치셈법”으로 규정 짓고 인천시 이관 논의 백지화를 요구하며, 폐기물 반입 저지, 노조 파업 등을 이어갈 예정이다.

반면, 옹진군, 중구, 연수구 등 대체 매립지로 거론되던 인천 다른 지역에서는 대체 매립지 지정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이번 선제적 조치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면, 지역 정치권에서는 이번 선제적 조치에 대해 각기 엇갈린 해석을 내놓았다.

새누리당 인천시당은 논평을 통해 “수도권매립지의 소유권과 관리권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게 된 것을 환영한다”며 “인천이 주도권을 갖고 시민들을 위한 주변지역 개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평가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인천시당은 기자회견을 통해 “유 시장이 인천시민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밀실 협상을 벌여 매립 연장을 획책한 것”이라며 “거듭 약속했던 매립 종료 고수 원칙을 손바닥 뒤집듯 가볍게 뒤엎어 버렸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