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로 신성장 동력 찾기 나서

농촌진흥청이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로 농업 분야의 신성장 동력 찾기에 나선다.

농진청은 15일 2015년도 주요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을 개발ㆍ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마트팜은 온실 내외의 환경과 작물의 생육을 자동으로 측정ㆍ분석하고, 빅데이터를 토대로 최적 환경을 제어 및 자료화해 생육을 원격 관리하는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이 결합한 농업경영 방식이다.

농진청은 우선 시설원예와 양돈 등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ㆍ복합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ICT 기반의 생육 최적 환경을 설정하고, 첨단기술을 적용해 농산물의 품질과 생산성은 높이는 대신 경영비는 낮출 계획이다.

또 스마트팜 적용 모델을 표준화하고 핵심 기술의 현장 확산을 위해 작물별·지역별로 4개의 시범 농장(경기·강원, 충청, 영남, 호남)을 운영, 2016년까지 ‘ICT+내재해+에너지절감’을 동시에 만족하는 스마트 온실 구조설계와 표준화를 단계별로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주요 작목의 단계별 생육 환경을 자동으로 측정해 정밀 관리 모델을 개발하고, 상담 지원을 위한 시설 작물 최적 생육관리 모델, 동물복지 돼지우리관리 모델 등 핵심 기술을 연구ㆍ개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팜 기술의 현장 확산을 위해 분야별 ICT 활용 우수 사례를 전파하고 농장유형별 원격 제어, 생육환경 관리 등 기술 분류, 공무원ㆍ농업인 대상 현장 활용교육도 추진한다.

농진청 관계자는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 개발과 현장 확산을 통해 품질 향상과 수량 증대, 경영비 절감 등 농가소득을 늘릴 수 있도록 예산 투입과 연구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