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종양혈액내과 최진혁 교수팀 발표
암 환자에 대한 적절한 항암화학요법 시작 시기를 알려주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아주대학교병원 종양혈액내과 최진혁 교수팀(강석윤ㆍ안미선 교수)은 3기 위암환자의 경우 항암화학요법을 수술 후 4주 이내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발표했다. 또 국소 진행성 위암 2, 3기 환자는 수술 후 지나치게 빨리 항암화학요법 받을 필요 없다는 결과도 함께 밝혔다.
이 연구는 아주대병원에서 1996년 1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위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위절제술을 한 후 2기 또는 3기 병기소견을 보여 동일한 방법(5-FU / 마이토마이신씨 / polysaccharide-K)으로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410명을 대상으로 생존기간과 예후 인자를 조사한 것이다.
분석 결과 수술 후 보조 항암화학요법 시작까지 4주 이상 소요된 환자군의 ‘10년 생존율’은 38.8%로 4주 이내 시작한 환자군(57.5%)보다 20%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주 이후 항암화합요법을 시작한 환자는 410명 77명, 4주 이내 시작한 환자수는 333명이다.
특히 3기 환자군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다. 2기 환자들의 10년 생존율 차이는 80.8% 대 69%였으나, 3기 환자군의 비교 결과 45.2% 대 20.5%로 20%p 이상 차이가 났다. 반면 수술 후 2주 이내 매우 이른 시기에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은 생존율에서 뚜렷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2, 3기 국소 진행성 위암 환자는 수술 후 3~4주 동안의 충분한 회복기간을 가진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 3기 환자의 경우 가급적 수술 후 4주 이내에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종양혈액내과 최진혁 교수는 “동일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많은 환자에서 상당한 추적기간을 거쳐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항암화학요법 시작 시기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면서 “다만 약 2년 전부터 이번 연구에서 시행한 요법과 다른 두 가지 요법이 국내 대부분의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해 해당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2015년 1월 22일 암 관련 국제 학술지인
류설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