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한국 대표 이미지’
한국 대표 이미지, ‘IT첨단’에서 ‘K팝’으로
‘K팝’이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자리매김 했다.
‘한국’ 하면 가장 많이 떠오르는 이미지가 ‘IT첨단’에서 ‘K팝’으로 바뀌었다.
11일 한문화산업교류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세계 14개국 5천600명을 대상으로 해외 한류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17.2%가 ‘한국’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 ‘K팝’을 꼽았다.
이어 2위는 ‘한식’(10.5%), 3위는 ‘IT첨단’(10.4%)으로 꼽혔다.
불과 1년 전에는 ‘IT첨단산업’이 1위로 지목됐었다.
가장 인기있는 한국문화콘텐츠로는 43%가 한식이라고 답했고, ‘음악’(36.4%), ‘패션’(35.3%), ‘영화’(29.7%), ‘드라마’(28.2%), ‘게임’(26.9%)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한국대중문화의 인기가 한식, 패션 등 생활문화 전반으로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류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한류가 ‘4년 이내에 끝날 것’이라는 응답이 직전 조사 대비 4.4%p 줄어든 57.2%로 나타났고, 지속 기간을 ‘5~9년’, ‘10년 이상’으로 내다본 비율도 각각 3.6%p와 0.7%p 증가해 한류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예전보다 다소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한류 열풍의 주요 국가인 일본은 ‘4년 이내 끝날 것’이라는 답이 84.3%에 달해 여전히 반한 감정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또 일본 팬 40%는 K팝, 드라마, 영화 등 한류 콘텐츠 이용량이 1년 전보다 감소했다고 인식했다.
나머지 조사 대상국에서는 한류 이용량이 1년 전보다 상승하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신흥 한류 지역인 브라질은 K팝 이용량이 비슷하거나 증가했다는 답이 76%에 달했다.
한류 콘텐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해결돼야 할 사안으로는 ‘공용어나 자국어로 된 한국문화 정보 부족49.6%(중복응답 허용)’이 첫 번째로 꼽혔고, ‘콘텐츠 자막 더빙 부족(44.5%)’이 뒤를 이었다.
사진=‘K팝 한국 대표 이미지’,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