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뚫린 강화… 늑장대처 ‘시끌’

돼지농장 ‘양성’ 확진 10시간 지나도록
상황실조차 운영못해… 방역조치 등 차질

인천 강화군의 돼지농장에서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방역 당국의 구제역 긴급행동지침(SOP)과 상황실 운영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늦장대응 논란이 일고 있다.

농식품부는 24일 오전 8시께 강화군 화도면의 한 돼지농장에서 구제역 의심증상을 보이는 돼지 30여 마리를 검사한 결과 양성으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농식품부의 구제역 긴급행동지침 시행이 늦어지면서 구제역 발생 10시간이 지나도록 강화군청 3층에 마련된 구제역 상황실조차 운영하지 못했다.

특히 이날 오전 해당 농장 정문만 방역관계자가 출입통제를 할 뿐 주변도로와 차량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강화군의 유일한 진·출입 도로인 강화대교와 초지대교 방역도 내일쯤 실시될 예정이다.

이처럼 구제역 대응이 늦어지면서 지침을 받지 못한 화도면사무소는 25일 열리는 게이트볼대회, 26일 노인정기총회, 31일 면민체육대회 등 주민 다수가 참여하는 행사 개최 여부를 오후 6시가 넘도록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또 구제역이 발생한 돼지농장 주변에는 청소년수련원을 비롯해 강화군의 대표적 관광지인 마니산과 동막해수욕장, 해넘이 마을이 있고 펜션 등 숙박시설이 밀집해 있는데도 주변지역 소독과 차단방역이 오후 6시가 넘도록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성남시 구제역 발생에 맞춰 실시하던 강화대교, 초지대교 방역을 지난 13일 일부 상인이 영업에 지장을 준다는 민원을 제기하자 돌연 중단했다.

군 관계자는 “구제역 긴급행동지침이 늦어진 것은 농식품부 검역관이 해당 농장에 대해 항체 및 혈청검사를 거친 후 적절한 대응 메뉴얼을 제공하기 때문이다”며 “화도면의 모든 행사는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군 축산사업소 관계자는 “현재 살처분, 방역 등을 담당할 업체를 선정 중이다”며 “준비과정이 마무리되면 살처분과 동시에 주변 농장의 가축 이동제한과 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주민들은 “지난 2010년 구제역으로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이 있었던 것을 감안해 철저한 사전 준비와 신속한 대응이 필요함에도 주변도로 통제나 방역활동 등이 늦어져 주민들만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한의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