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위해 목숨 걸고 싸웠는데… 참전유공자 사망위로금 겨우 30만원

인천 1만9천여 노병들 불만

인천지역 참전유공자들이 기초자치단체로부터 지급받는 ‘참전유공자 사망위로금’ 액수가 적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14일 인천시와 일선 지자체 등에 따르면 국가보훈처에 등록된 지역 내 참전유공자가 사망하면 가족에게 사망위로금을 지급하고 있다.

6·25전쟁이나 월남전에 참전해 유공자로 인정받은 인천지역 내 참전유공자는 현재 1만 9천544명으로, 이들이 사망하면 시가 20만 원, 군·구비 10만 원을 합쳐 30만 원의 위로금(옹진군: 40만 원)을 일시금으로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참전유공자들 사이에선 위로금을 놓고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국가를 위해 헌신했던 유공자들의 마지막 예우치곤 금액이 너무 적다는 이유에서다.

6·25참전유공자회 인천시지부 관계자는 “목숨을 걸고 국가에 헌신한 것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금액이다”며 “최근 사회 흐름이나 물가 인상을 따져봤을 때 마지막 가는 길 보상치곤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고 지적했다.

참전유공자회 인천시지부 A 지회 사무소 직원은 “많은 분이 직접 찾아오거나 전화로 사망위로금에 대한 불만을 털어 놓는다”고 귀띔했다.

대한민국 월남참전전우회 인천지부 관계자도 “금액을 더 늘려주면 당연히 좋겠지만, 공무원들 앞에서 우린 약자일 수밖에 없는데 어떻게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시와 일선 지자체는 재정형편상 추가지원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 사회복지봉사과 관계자는 “현재 시에서 지급하는 20만 원도 다른 지자체에 비해 적지 않은 편으로 어려운 재정여건상 금액을 올리는 것은 힘들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일선 지자체 관계자도 “참전유공자 수가 적다면 더 많은 지원을 할 수 있겠지만, 1인당 10만 원씩만 더 지급해도 수억 원이 넘어 재정에 부담이 된다”고 전했다.

김준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