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민단체 기자회견
인천지역 문화시민단체가 경인국철 인천역 역세권 재개발 사업으로 인해 55년 전통의 역사(驛舍)가 헐릴 위기라며 인천역 보존을 촉구했다.
인천도시공공성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31개 인천지역 문화시민단체는 21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역 역세권 재개발 사업에 공공성 및 역사성이 부재하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인천시는 코레일과 함께 기존 역사를 민자역사로 만들며 그 자리에 ’선큰(SUNKEN)광장‘, 사무용 빌딩, 호텔, 오피스텔 등으로 채우려 한다”며 “공간이 지니던 개방성과 공공성은 축소·폐쇄되고 빌딩 앞마당 정도에 불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서울역과 신촌역처럼 결국 보존하기로 결정된 사례도 적지 않다”며 “인천의 고유한 역사문화자산이 개발과 돈의 논리 속에 하나씩 사라지는 상황에 대해 분노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인천시에 토론회 등을 통해 시민 공감대를 마련하고 공공성, 역사성을 지닌 사업계획 수립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시는 이들 단체가 제시한 개발계획이 지난해 검토했던 방안 중 하나일 뿐, 역세권 재개발 사업은 인천역 보존을 전제로 민간사업자를 공모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시 관계자는 “사업성이 떨어져 민간사업자 확보가 어려울 수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인천역 보존을 전제로 사업자를 공모할 것”이라며 “문화시민단체와 협의를 진행하며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인국철의 종착역인 인천역은 1899년 경인철도 개통 때 제물포역으로 건립됐다가 한국전쟁 때 파괴됐고, 1960년에 신축해 복구한 역사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박용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