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친부모의 아동학대

이연섭 논설위원 yslee@kyeonggi.com
기자페이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1Q84’의 주인공 덴고는 일요일을 좋아하지 않는다. 유년시절의 덴고는 일요일이면 NHK 수신료를 걷으러 다니는 아버지를 따라 낯선 집들을 찾아 다녔다.

그는 아버지 옆에서 동정심 유발을 위한 도구로 사용됐고, 그 날은 일주일 중에 가장 짜증나는 하루가 됐다. 매주 일요일이면 무거운 발걸음을 옮겼던 기억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일요일을 불편한 날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이 소설을 예로 들지 않더라도 유년시절의 경험은 한 사람의 평생을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어렸을 때 신체적ㆍ정신적 학대를 당했거나 무관심 속에 내팽개쳐져 방임 상태에 놓였던 아이는 그 상처와 충격으로 어른이 돼서도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 사회의 아동학대가 심각한 상황이다. 믿기 어려울 정도의 폭력과 방임이 종종 보도돼 충격을 주고 있다. 아동학대는 죽음을 불러오기도 한다. 한 신문사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학대로 숨진 아이들은 263명에 이른다. 이 중엔 이름도 갖지 못한 신생아 살해 59명, 동반이라는 이름으로 왜곡된 ‘살해 후 자살’ 92명(추정)이 포함돼 있다.

아이들을 학대하고 죽음으로까지 몰아넣은 이유는 황당하다. ‘잠을 자지 않아서’ ‘똥오줌을 가리지 못해서’ ‘울어서’ 등 생리적인 이유로 학대한 사례도 많고, ‘말을 잘 안 들어서’ ‘욕설을 해서’ ‘거짓말을 해서’ ‘고집을 부려서’ 등 훈육을 명분으로 한 학대도 많다. ‘사랑해서’ 였다는 이유도 있다.

아동학대 중 대부분은 친부모에 의해서 이뤄지고 있다. 칠곡과 울산에서 계모의 학대로 아동이 사망한 사건이 있었지만 실제는 친부모 학대가 훨씬 심각하다. 여성가족부가 최근 발표한 ‘2015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아동(0~17세)을 학대한 사례는 6천796건으로 전년대비 393건 증가했다.

아동을 학대한 행위자는 친부모가 76.2%가 가장 많았고 계부모(3.7%), 친족부모(2.1%), 부모동거인(1.3%), 이웃(0.8%) 등의 순이었다.

친부모에 의한 폭력행위는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가해져 고문 수준이다. 폭력을 휘두르는 부모들은 자신의 행동이 훈육이라고 착각한다.

아이는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다. 폭력은 어떤 경우에도 용납돼선 안된다. 그 위에 사랑이나 훈육과 같은 이름의 옷을 입히더라도 정당화될 수 없다.

이연섭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