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방위 대피시설’ 사실상 ‘사각지대’

인천지역 1천200곳 지정

시민 상당수 대피소 몰라

홍보부족·홈피 부실 관리

일부 아파트 지정사실 망각

매뉴얼조차 없어 ‘안전불감’

긴급상황 우왕좌왕 불가피

인천지역 주민대피시설 1천여 곳에 대한 정보는 물론 시설 관리가 부실하고 홍보 부족으로 대피소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주민이 대부분이어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역별로 민간시설과 공공시설을 합쳐 1천200여 곳의 민방위 대피시설을 지정·운영 중이다. 그러나 이들 대피소에 대한 정보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별다른 홍보가 없어 시민 상당수가 대피소가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다.

시가 운영 중인 지역별 대피소 안내 홈페이지도 지난 2013년을 마지막으로 더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 하지 않아 신도시 개념의 송도·청라·영종지역 대피소 정보가 부실하다.

시민 A씨는 “대피소가 어디 있는지 안내나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며 “지정만 해놓고 홍보하지 않는다면, 지진 등 천재지변이 발생해도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우왕좌왕할게 뻔하다”고 말했다.

특히 아예 대피소로 지정된 일부 아파트 등은 대피소 지정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 짧게는 수년 전 지자체와 협의해 민방위 대피시설 등으로 지정됐지만, 관리 업체 등이 바뀌면서 제대로 업무가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평의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우리)아파트가 대피소로 지정된 줄 몰랐다”며 “긴급상황 등 주민 대피가 필요한 상황이 닥쳤을 때 아파트 주민 이외 다른 사람까지 대피시키는 요령이나 매뉴얼 등은 없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한 추가 대피소 지정·운영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구도심으로 분류돼 비교적 대형 민간시설 대피소 지정이 어려운 남구는 286곳의 대피소를 지정·운영 중인데 반해, 최근 청라국제도시의 아파트 입주 등으로 인구 50만 명을 넘어선 서구는 대피소가 80여 곳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대피소에는 모두 안내 표지를 부착해 놨는데, 주민이 관심 있게 보지 않은듯하다. 대피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지역별 민방위 대원이 주민의 대피를 유도하게 되어 있다”면서 “홈페이지 내 대피소 정보업데이트나 대피시설 홍보활동 등을 점검해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