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폐쇄 땐 축산업 붕괴 시설 개선엔 수십억 필요해 區 “국도비 예산 확보 추진”
고양시 일산동구가 한 농협이 운영 중인 발효퇴비공장의 악취 민원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공장을 폐쇄할 경우 시 축산업이 붕괴되고 악취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자니 수십억원의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2일 고양시 일산동구에 따르면 B농협은 지난 1996년 7월 일산동구 설문동에 발효퇴비공장을 준공해 운영하고 있다. 이 공장은 고양시 70여 축산 농가에서 축산 분뇨를 가져와 퇴비로 가공해 판매하며 하루 100t을 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90년대 말부터 공장 인근에 전원주택 단지가 들어서면서 악취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일산동구청은 현재 이 공장을 악취민원 중점관리대상시설로 지정해 순찰을 강화하고 수시로 점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실시한 악취검사에서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해 행정처분을 내리기도 했으나 현재 인근 주민들은 공장 폐쇄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시는 공장이 폐쇄될 경우 시 축산업 붕괴로 이어질 수 있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해양투기가 금지된 축산분뇨는 100% 공장에서 처리해야 하는데, 이 공장이 폐쇄되면 시 축산농가의 축산업 포기는 불을 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또 근본 해결책인 완전밀폐식 시설 설치에는 50억~60억원의 예산이 필요한데 운영 주체인 농협 측이 이를 꺼리고 있으며 주민들도 완전밀폐식으로 시설 개선이 이뤄지면 이곳에서 운영을 지속할 것이라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발효퇴비공장 관계자는 “현재도 국가보조금이 없으면 운영이 안 될 정도인데 수십억원에 이르는 예산을 들여 시설을 개선하기는 어렵다”며 “정부나 지자체에서 시설 개선 자금을 지원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일산동구 관계자는 “완전밀폐식으로 시설을 개선하는 것이 최선이라 국도비 등 예산 확보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공장이 폐쇄되면 축산업이 붕괴되기 때문에 폐쇄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고양=유제원ㆍ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