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 안이한 메르스 대처 문제 있다

인천시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사태에 안이하게 대처, 시민들의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메르스 추가 환자가 크게 줄어 23일엔 3명에 그치고 격리 대상자도 1천여 명 줄어 진정국면에 들어서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23일 추가 확인된 환자 3명 모두 감염 경로가 불확실하거나 격리 대상 밖에서 환자가 발생, 추가 감염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그럼에도 인천시의 부실 대처가 드러나 시민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메르스 확산의 최대 진원지가 된 삼성서울병원 암병동에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5일까지 입원한 부인을 간호하던 남편(62)이 지난 19일 최종 확진자(166번)로 판정됐다. 이 환자의 감염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당시 이 병원 같은 병동에 입원했다 지난 5일 퇴원한 또 다른 환자 A씨가 지난 17일 인천의 B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이다.

문제는 166번 환자의 감염 경로가 불확실한데도 같은 병동에서 퇴원한 A씨와 접촉한 사람들에 대한 격리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A씨가 삼성병원에 입원 중이던 지난 2일 인천의 한 교회 신도 6명이 A씨를 단체로 문병했지만 이들은 보건당국의 관리 대상에서 제외됐다. 신도들이 집단 문병한 지난 2일 전후는 삼성병원 응급실을 통해 메르스가 크게 확산되던 시점이다. 당연히 A씨 접촉자들에 대한 자가 격리 조치가 있어야 했다.

하지만 방역당국과 삼성병원 측은 당시 암병동에 입원했다 퇴원한 A씨에 대한 정보를 인천시에 알려주지 않았고, A씨가 지난 17일 입원한 인천의 B병원도 A씨의 이동 경로와 입원 사실을 시에 알리지 않은 채 A씨를 치료해왔다. 메르스 확산 차단에 구멍이 뚫린 거다.

그런데도 인천시는 별 문제가 없다는 태도다. 삼성병원에서 퇴원한 A씨가 인천 B병원에 입원한 사실을 본보 취재팀의 확인으로 뒤늦게 알게 된 인천시가 입원 치료 사실을 숨겨온 B병원을 되레 감싸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B병원을 질책하기는커녕 대응을 잘했다고 옹호했다. B병원은 시의원 친척이 운영하는 걸로 알려져 의혹을 살 수밖에 없다. B병원 측도 A씨가 삼성병원에서 퇴원한 지난 5일을 기준, 바이러스 잠복기 14일이 지났고, 메르스 증세가 없어 격리 치료가 해제됐다고 강변했다. 인천시도 같은 이유로 A씨를 단체 문병한 신도들의 격리 조치가 불필요했다는 거다. 그러나 최근 방역당국이 정한 잠복기(2주)를 9일이나 지난 이후에도 확진 환자가 잇따르면서 잠복기 논란이 일고 있다. 이를 중시해야 한다. 괴질 차단은 한 치의 틈도 있어선 안 된다. 최악의 경우를 상정, 100% 완벽하게 차단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