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중심 ‘부평-계양·주안-구월’… 제조업은 ‘논현-고잔·가좌’

韓銀 인천본부·유병국 인천대 교수 ‘산업구조 평가’ 발표

인천지역 고용 중심지 4곳… 인천면적의 4% 불과 고용량 32% 차지

포괄적 정부 정책 효과 한계… 市, 지역별 맞춤형 ‘경제 시책’ 바람직

인천지역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고용 중심지가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천편일률적인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별 맞춤형 성장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은행 인천본부는 25일 개최한 지역전문가 세미나에서 유병국 인천대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인천지역 산업구조에 대한 평가 및 정책적 시사점’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영세성과 낮은 생산성으로 정체된 인천지역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읍·면·동별 고용형태를 분석해 성장 전략을 찾고자 진행했다.

연구 결과 고용밀도가 ㎢당 2천500명 이상, 총 고용자 수가 1만 명 이상에 해당하는 ‘고용 중심지’는 부평계양지구, 주안구월지구, 가좌지구, 논현고잔지구 등 4곳으로 조사됐다.

이들 고용 중심지는 면적이 인천 전체의 4%에 불과하지만, 인구 12%가 거주하고, 사업체 수는 21%, 고용량은 32%나 차지한다. 고용 중심지의 제조업 비중은 31.7%에 달해 인천 평균 13.8%의 두 배를 넘으며, 서비스업 중 금융보험업의 비중도 인천 평균보다 4.2% 높다.

특히 업종별로 고용 중심지가 뚜렷하게 나뉘어 제조업 중심의 논현고잔·가좌지구, 서비스업 중심의 부평계양·주안구월지구 2개 축으로 나타났다. 부평계양·주안구월지구는 숙박음식·사회복지·교육서비스·개인서비스 업종이 대부분이며, 논현고잔·가좌지구는 금속가공·전자컴퓨터·기타기계 업종으로 구성됐다.

연구진은 지역별로 업종 특성과 성장 잠재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 만큼 정부 정책에 따라가는 경제 정책 대신 고용 중심지에 맞춘 경제정책을 적용해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유 교수는 “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지역별로 고용·산업 특성이 다른 만큼 이를 파악해 국가 경제와는 또 다른 산업정책이 이뤄져야 한다”며 “지역 기반이 약한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경우 성장 효과가 외부로 이탈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