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산하 국립축산과학원은 13일 복제견을 생산할 때 사용하는 체세포 핵치환(SCNT) 수정란을 세계 최초로 배반포 단계까지 체외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배반포는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할 때의 형태로써 할구 분할이 끝난 세포덩어리의 형태를 말한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총 3개의 배양액에서 개의 체온과 비슷한 38.5도의 세포 배양기 조건에서 체세포 핵치환 수정란을 7일간 배양한 결과 배양액에서 건진 총 115개의 체세포 핵치환 수정란 중 9개의 배반포를 발생시키는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수의과학저널’(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6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체세포 핵치환 수정란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생성되는 일반적인 수정란과 달리 수정란 미세조작이라는 생명공학적 방법을 통해 만든다. 복제견은 핵을 없앤 일반 개의 난자에 우수한 개의 체세포를 주입하고 전기 자극을 통해 체세포를 난자와 융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소와 돼지 등 다른 동물과 달리 배반포 단계에 이르는 경우가 드물어 체세포 핵치환 수정란의 초기 배(수정 이후 첫 할구분할부터 완전한 개체가 형성되기까지의 세포집단) 발생에 관한 연구에 어려움을 겪었다.
축산과학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체세포 핵치환 수정란의 제작과 이식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급물살을 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