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탕평인사

김동수 정치부 차장 dskim@kyeonggi.com
기자페이지

조선시대 탕평(蕩平)에 사활을 걸었던 영ㆍ정조대왕은 수백년이 지난 지금도 후손들에게 칭송받은 대표적 군왕이다. 고른 인재등용, 이는 곧 조직의 존폐를 좌우하는 열쇠다.

사가들에 따르면 이른바 탕평인사는 중국 춘추전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주왕조가 멸망하고 동주 왕조가 시작된 기원전 771년부터 통일 진나라가 세워지기까지의 550년 기간을 춘추전국시대라 말한다. 군웅할거 시대인 이 기간 동안 중국인 특유의 대륙기질로 받아들여지는 유연성과 융통성이 생겨났다. 특히 인사 부분은 눈여겨 볼만하다.

노예나 몸종, 비록 죄수 신분일지라도 능력에 따라 벼슬에 오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들은 각자의 기상을 유감없이 떨칠 수 있었다. 붕당정치로 배경은 사뭇 다르지만 우리 조선사에도 탕평을 찾아 볼 수 있다.

숙종때 박세채가 처음으로 주장했다 전해진 탕평은 영조부터 서서히 빚을 발하다 정조때 무르익었다. 정조는 자신의 침실에 ‘탕탕평평실(蕩蕩平平室)’이란 이름을 붙이고 편액까지 건 것으로 전해진다. 인기드라마 징비록에도 ‘면천제’가 등장한다. 공을 세우면 천인신분을 면해 주는 제도다.

최근 경기도가 고위급 인사에서도 이런 저런 태도로 말썽을 자초했다. 법에 따라 의장에게 인사 추천권까지 행사하도록 해 놓고 뒤늦게 3의 인물을 저울질하는 이중잣대로 화를 자초했다. 배경은 다를수 있지만 이런 휘둘림은 200여 의회사무처 직원 모두에게 고스란히 전해지고 있다.

소위 괘씸죄로 곧이어 예정된 하위직 인사에서도 불이익을 받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다. 사무처 직원들은 인사때마다 변방 신세임을 하소연한다. 진급을 하려면 인사권자 근처에 맴돌라는 말도 있다. 때문에 과거 인사나 총무, 감사, 기획 분야 근무자가 진급 1순위로 분류된 이유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와 시군은 일선 사업부서 근무자를 우선하는 고육책까지 운영한바 있다. 하지만 이런 탕평률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게 작금의 현실이다. 최근 도의회는 의회 기본조례 제정을 준비중이다. 의회사무처 직원들에 대한 신분보장, 인사불이익 근절책을 포함시키자는 주장도 이 때문이 아닌가 싶다.

김동수 정치부 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