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계 놓고 ‘장남의 난’ 실패 父 신격호 총괄회장도 퇴진

롯데家 ‘형제 갈등’… 차남 신동빈 체제 확립

롯데그룹 후계자를 놓고 벌어진 장남 신동주 전 일본 롯데 부회장(61)의 ‘왕자의 난’이 사실상 실패하면서 창업주이자 아버지인 신격호 총괄회장(93)도 한국과 일본 롯데그룹 경영일선에서 퇴진하게 됐다. 이번 사태로 롯데그룹은 신 총괄회장의 차남인 신동빈 회장(60)의 2세 경영체제로 전환했다.

일본 롯데그룹의 지주사인 일본 롯데홀딩스는 28일 오전 긴급 이사회를 열고 신 총괄회장을 롯데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에서 전격 해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총괄회장은 이에 따라 일본 롯데홀딩스의 명예회장으로 남게됐다.

신 총괄회장은 지난 27일 장남 신동주 전 일본 롯데 부회장의 주도로 비밀리에 일본으로 건너갔다. 신 총괄회장은 같은 날 오후 일본 롯데홀딩스에 나타나 자신을 제외한 일본롯데홀딩스 이사 6명을 해임했다. 이날 해임된 일본 롯데홀딩스 이사에는 신동빈ㆍ쓰쿠다 다카유키 대표이사 부회장이 포함돼 있었다.

이에 대해 신동빈 회장 등 일본 롯데홀딩스 이사 6명은 신 총괄회장의 27일 이사 해임 결정이 이사회를 거치지 않은 불법 결정이라고 규정했다. 신 회장 등 이사진은 28일 오전 일본 롯데홀딩스 긴급 이사회를 열어 신 총괄회장을 일본롯데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에서 해임했다.

한국 롯데그룹 관계자는 “일본 롯데홀딩스가 신격호 대표이사를 명예회장으로 추대하는 결정을 내렸다”면서 “신 명예회장은 앞으로도 한국과 일본의 주요 사안에 대해 보고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입장 발표는 창업주인 신 총괄회장에 대한 예우 차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지난 2000년 현대그룹 ‘왕자의 난’을 연상시키는 사태가 발생했지만 신동빈 회장의 경영체제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신 회장이 한일 두나라에 걸쳐 있는 롯데그룹 경영권의 핵심인 일본 비상장 법인 광윤사를 지배하고 있다는 관측에서다. 신 회장과 신 전 부회장 모두 광윤사 지분을 29%씩 갖고 있지만 12%의 지분을 보유한 ‘우리사주’가 현재 신 회장의 지지세력으로 알려졌다.

‘롯데판 왕자의 난’을 일으킨 신 전 부회장은 이번 사태 이전인 지난해 12월 일본 롯데 부회장, 롯데상사 대표이사 부회장, 롯데아이스 이사에서 해임된 데 이어 올해 1월 일본 롯데홀딩스 이사에서도 해임되면서 사실상 후계자 지위에서 멀어졌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