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그들만의 잔치…훈장 10개 중 9개는 퇴직 공무원 몫

▲ 사진=공무원 훈장, 연합뉴스

공무원 훈장.

정부가 수여한 훈장 10개 가운데 9개는 퇴직 공무원이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9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가 수여한 훈장은 2만1천669건으로 지난 2013년보다 무려 8천68건(59%) 급증했다.

지난 1999년 2만2천526건을 수여한 이래 최대 규모다.

이처럼 지난해 훈장이 크게 증가한 건 공무원 퇴직포상, 즉 근정훈장이 1년 만에 1만680건에서 1만8천548건으로 7천868건이나 급증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나머지 국민훈장, 무공훈장, 산업훈장, 산업훈장, 체육훈장 등 11개 훈장은 모두 합쳐 200건만 늘었다.

지난해 정부가 수여한 훈장 중 퇴직 공무원 근정훈장은 무려 85.6%를 차지했다.

공무원은 금품수수 등 비리로 처벌을 받지 않고 25년 이상 근무한 후 퇴직하면 재직 기간에 따라 포상으로 국무총리표창∼훈장을 받는다.

33년 이상 근무 후 퇴직한 모든 공무원에게 퇴직 당시 직위에 따라 옥조·녹조·홍조·황조·청조훈장이 주어진다.

퇴직포상을 제외한 나머지 정부포상 중에서도 공무원 공적포상이 40%가 넘는 점을 고려하면 지난해 퇴직·재직 공무원이 받은 훈장은 90%가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퇴직 공무원 훈장이 8천건 가까이 많아진 까닭은 정년연장의 여파로 전년보다 퇴직자가 늘고 공무원연금 개혁 과정에서 명예퇴직 바람이 불었기 때문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국민추천 포상을 활성화하고 근정훈장 자격도 더 까다롭게 하는 등 일반 국민 수훈자를 확대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베이비붐 세대’ 교사 은퇴 등으로 당분간 근정훈장의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근본적으로 근정훈장 제도를 개편해야 할지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