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화 통해 ‘공정경제 생태계’ 육성

남지사 ‘경제민주화 포럼’ 참석 페어플레이 기업에 인센티브
양극화 해소·신성장동력 발굴 ‘선순환’ 경기도형 모델 창출

▲ 10일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경제민주화 포럼’에서 남경필 경기지사가 ‘경기도 경제민주화 실천방안’이란 주제로 기조발제를 하고 있다. 전형민기자

남경필 경기지사가 경기도 차원의 ‘경제민주화’ 추진을 선포했다.

남 지사는 10일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불공정거래 상담센터 개소식과 경제민주화 포럼에 참석해 “최근 롯데그룹 사태를 보며 경제민주화가 얼마나 중요한 시대의 화두인지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된다”며 “우리 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라도 양극화를 해소하고 불공정거래를 바로잡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지방정부이지만 불공정거래 개선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남 지사는 이날 기조발제를 통해 공정경제 생태계 조성, 양극화 해소,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경기도형 경제민주화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경제민주화 성공을 위해 정부와 협력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남 지사는 “(경제민주화 관련) 중앙정부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다. 정부의 딸리는 일손을 경기도가 돕겠다. 중앙과 협력하며 반칙을 잡아내고 페어플레이 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경기도형 모델을 창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남 지사는 공정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 발전하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만들겠다는 구상도 공개했다.

세부 내용을 보면 도내 주요 산업클러스터 단위로 핵심 대기업과 중소기업, 관련단체,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논의체를 구성하고 대-중소기업이 공유가치(CSV, Creating Shared Value)를 함께 창출하는 상생협력 모델을 발굴하는 내용이다.

또 경기도형 경제민주화에는 노사화합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 방안도 담길 예정이다. 이와 함께 도는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불공정거래에 대한 조정 권한을 지방에 이양할 것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신광식 경기도 경제민주화 실천위원회 위원장은 ‘지방정부의 경제민주화 임무와 역할’을 주제로 발표하고 “오늘을 시작으로 경기도가 공정거래와 경제민주화 관련해 새로운 역사를 만들 것으로 확신한다”며 남 지사의 의견에 힘을 실었다.

한편 이날 문을 열고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간 ‘경기도 불공정거래 상담센터’는 도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불공정거래 신고 접수와 법률 자문을 제공한다.

아울러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분쟁 중재, 불공정거래 실태조사, 개선방안 마련 등도 추진한다. 도는 불공정거래 상담센터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지난 4월 전국 최초로 신설한 공정경제과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상담과 신고접수, 소송지원 업무를 전담하는 변호사를 신규 채용했다.

남 지사는 이날 경기도중소기업CEO연합회 등 11개 단체 7천여 회원사와 160여개 시장상인회 소속 소상공인 6만여명에게 불공정거래 상담센터 이용을 독려하는 내용의 서한문을 발송했다.

김창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