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요구 ‘모르쇠’… 불통案

영종도 준설토투기장 항만재개발 계획변경안 ‘후폭풍’

2차 주민공청회 참석자들 거센 반발

공항고속道IC 영종이전 등 보완책

단 1건도 반영안돼 ‘목적 상실’ 지적 

인천 영종 드림아일랜드 사업이 주민의 뜻과 반대로 가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최근 인천항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 항만재개발사업(드림아일랜드 조성)의 민간시행자가 사업계획 변경안 승인을 요청했다고 12일 밝혔다.

주민들은 이날 인천시 중구 영종출장소 대강당에서 열린 ‘사업계획 변경(안) 2차 주민공청회’에서 강한 불만을 쏟아냈다. 변경안에는 지난해 10월 최초 주민공청회에서 나온 보완 및 지적사항이 단 1개도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사업구역 안에 조성될 인천공항고속도로 IC와 인천공항철도 역사를 영종도 내로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공청회 토론 패널로 참석한 김정헌 시의원은 “항만재개발원칙(항만법 51조)은 주변지역의 효과적 개발과 지속 이용”이라며 “현재 계획대로 되면 관광객이 영종도까지 굳이 들어올 필요가 없어진다. 애초 재개발 목적이 상실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은수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도 “너무 사업시행자 입장에만 치우쳐 있다. 지난해 1차 공청회 때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고민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거들었다.

또 주민들은 드림아일랜드 내 자체 시설 없이 기존 영종 주민을 위해 설치한 운북하수처리장(하수처리)과 영종배수지(상수공급)를 이용하는 점도 문제 삼았다. 하늘도시 등 주민들이 입주할 당시 설치한 기반시설에 손쉽게 ‘숟가락만 올리는 모양새’가 됐기 때문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사업시행자가 일정부분 시설 사용료(분담금)를 낸다고 하는데, 원칙적으로는 늘어난 만큼 시설을 증설할 사업비를 내야 한다. 그래야만 이후 영종도 내 인구가 늘어났을 때 추가 증설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날 공개된 변경안엔 최초 주민들이 찬성한 사업계획상 내용이 삭제돼 주민 반발을 키웠다. 당초 사업계획엔 사업부지 내 영종도 미개발지를 잇는 추가 진입도로(교량)가 있었지만, 변경안에는 삭제됐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IC·철도역사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광객의 영종도 방문이 차단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장지선 영종발전협의회 이사장은 “주변지역과 연계가 전혀 안 된 최악의 변경안”이라며 “주민 의견을 수렴한다 해놓고, 정작 주민을 무시하는 이런 공청회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고 반발했다.

이밖에 이날 함께 열릴 예정이었던 환경영향평가서(초안) 주민설명회도 이 같은 주민 반발과 사전 안내 부족까지 겹쳐 결국 무산됐다.

이에 대해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아직 변경안이 승인된 게 아닌 만큼, 주민의견을 적극 검토해 사업계획에 반영할 것”이라며 “환경평가 설명회는 일정을 충분히 공지한 뒤 열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인천시 중구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331만 5천여㎡)을 오는 2020년까지 2조 400억 원을 들여 해양문화관광지구와 복합상업시설, 체육시설(골프장) 등으로 개발하기로 하고, 지난해 7월 민간사업자인 (주)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와 실시협약을 맺었다.

신동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