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8월 15일은 광복 70주년이 되는 의미있는 날이다. 36년간의 일제 식민지배에서 해방된, 우리 민족에겐 감격스런 영광의 날이다. 이는 독립운동가들의 희생 덕분이다. 독립운동가들이 없었다면 오늘의 대한민국은 있을 수 없다.
하지만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독립운동가의 후손들은 경제적 어려움 속에 고단한 삶을 살고있다. 나라의 독립을 위해 목숨 바쳤던 분들과 그 후손들이, 광복 70주년을 맞은 지금까지도 제대로 대우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 사회의 부끄러운 치부다.
얼마전 한 매체가 독립운동가와 후손 1천115명을 조사한 결과, 월 개인 소득 200만원 미만이 75.2%나 됐다.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이 43.0%로 가장 많았고,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이 20.9%, 50만원 미만이 10.3%였다. 3대를 넘어 4대 후손들로까지 가난은 대물림 되고 있었다. 개인 총재산 역시 3억 수준의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에 훨씬 못미쳤다.
경제적 어려움은 교육 수준으로 연결됐다. 응답자중 고졸이 25.7%로 가장 많았고, 초졸, 중졸, 무학의 순이었다. 보훈정책 중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보훈 연금과 대상 확대가 63.1%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의료서비스와 주거, 교육 지원이 뒤를 이었다.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재산을 독립운동에 쓴데다 가정을 돌보지 못하면서 그 후손들은 경제적 약자로 전락했다. 선조들의 독립운동이 후손들에게 명예보다는 가난이란 유산만 남겼다. 이젠 정부가 나서 그 후손들을 돌봐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어느 후손은 “국가가 굶어 죽지 않을 만큼만 지원했다”고 말했다.
순국선열의 고귀한 희생으로 지켜낸 대한민국이다. 독립운동가와 후손들에 대한 예우와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미발굴 독립유공자에 대한 발굴도 본격화 해야 한다.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을 한 사람은 20여만명으로 추정되지만 국가로부터 유공자 지원을 받는 사람은 1만4천여명에 불과하다. 현행 보훈사업의 문제점은 독립운동 관련 증빙자료를 후손들이 직접 찾아내 보훈처에 제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관련 전문학자도 힘든 일을 후손이 하기란 쉽지않다. 유공자 현양과 독립운동사 정립 등은 국가적 사업으로 정부가 나서야 한다.
진정한 광복절은 나라 위해 목숨을 바치고도 억울하거나 잊어진 애국이 되지 않게 하는 일이다. 광복절 70주년을 맞아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단재 신채호 선생의 말씀을 되새기길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