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투고] 광복70년 국가보훈처 의미 되새겨야

올해는 광복70주년, 분단70년으로 우리가 일제로부터 해방을 맞이한 기쁜 역사, 한 민족이 갈라진 뼈아픈 역사가 발생한 지 70주년이 되는 특별한 해이다. 지금의 우리나라가 있기까지 희생한 수많은 국가유공자들을 잊고 사는 건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2009년 OECD DAC(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하는 등 원조를 받던 가난한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바뀐 전 세계 유일한 나라이다. 또한 G20정상회의와 2002 한ㆍ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등 그 위상을 만방에 떨치고 있다.

이런 국가발전의 역사를 함께 걸어가는 곳이 바로 국가보훈처이다. 국가보훈처는 국가유공자에게 보상금을 지원하는 업무뿐만 아니라 나라사랑교육을 통한 국민의 애국심 함양, 장기복무제대군인 취업지원 등 사회정착을 돕는 서비스, UN참전국과의 보훈외교 확대 등 국가유공자들의 명예로운 삶이 보장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업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현재 국가보훈처는 장관급 기관이 아닌 차관급에 불과하여 부령을 제정할 수 없으며, 국무회의 의결권이 없어 제 목소리를 내기 어렵다.

예산 규모도 사업을 운영하는 데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보훈처 창설 당시 15만 명이었던 보훈 대상자가 242만여 명에 달하는 지금, 그에 맞는 합당한 예산배정과 격상이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한 일이 아닐까. ‘갈등과 분열을 넘어 미래로 통일로’라는 국가보훈처의 슬로건이 현실로 되는 그 날을 기대해 본다.

홍석희 인천보훈지청 보훈과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