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새누리당이 내년도 예산안 편성과 관련해 당정협의를 갖고 ‘청년일자리창출·사회안전망강화’에 무게를 두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13일 국회에서 2016년도 예산안 편성과 관련 정부와 당정협의를 갖고 정부의 경제성장률 예측치보다 높은 확장적인 예산편성안을 요구했다.
김성태 당 예산결산 정책조정위원장은 이날 당정협의 이후 브리핑을 갖고 “내년 예산의 핵심 키워드는 청년일자리 창출과 사회 경제적 약자들의 가계소득증대 및 사회안전망 강화가 될 것”이라며 “정부에 확장적인 재정정책 기조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당정은 이날 ▲SOC·농어민 사업 예산 적정규모 확보 ▲창조경제 뒷받침위한 R&D사업 예산 및 경제활력 제고 위한 예산 적극 반영 등에 대해 의견을 모았다.
당은 사회 경제적 약자 지원 예산인 ▲햇살론 2천400억 지원 ▲카드론 수수료 대폭 인하 ▲재래시장 전기료 감면 ▲경로당 등 노인 복지시설 냉난방기 보완 및 청결 유지 ▲노후 정·하수처리장 정비 사업 예산 증액 등을 정부에 당부했다.
이날 당정협의에 참석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년도 예산안은 노동·금융·공공·교육 4대개혁과 경제혁신 3개년개혁 등 경제혁신을 원활하게 뒷받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예산안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추경예산안 편성으로 회복된 경제모멘텀을 유지하고, 수출부진 등 저성장 흐름을 극복하기 위해 재정의 역할 확대 ▲경제활성화, 문화융성, 민생안정에 역점을 두고 재원을 배분해 신성장산업 육성, 제조업 혁신, 수출촉진에 투자 ▲중장기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도록 유사중복사업 통폐합 및 보조금 정비 등 강도높은 재정개혁 추진 등 예산 편성 3대 방향을 제시했다.
원유철 원내대표(평택갑)는 “수치상의 재정총량을 늘리는 것보다 경제성장을 선도하거나 미래 잠재성장률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에 맞춤형으로 재정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