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건전성 개선, 원인은…분할상환·고정금리 비중 증가?

▲ 사진=가계대출 건전성 개선, 연합뉴스

가계대출 건전성 개선.

은행권의 가계대출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다.

올 들어 분할상환·고정금리 방식의 대출 비중 증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으로 은행권 가계대출 중 분할상환 비중은 33%로 집계됐다.

분할상환은 원리금(원금+이자)이나 원금을 대출기간에 균등하게 나눠 갚는 방식으로, 만기에 한꺼번에 갚는 일시상환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은행권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도 지난 6월말 현재 33%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이 부실화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변동금리·만기일시상환 위주이던 가계대출을 고정금리·분할상환 방식으로 바꾸는 정책을 펴고 있다.

금융당국이 올해 목표로 삼은 고정금리·분할상환 대출 비율은 30%였다.

현재의 가계대출 구조는 금융당국의 애초 목표치보다 건전성이 한층 나아졌다는 분석이 가능한 셈이다.

이처럼 가계대출 구조에 긍정적인 변화가 생긴 것은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을 통해 올 3∼4월 고정금리·분할상환 방식의 안심전환대출 상품을 34조 원어치 판매한 영향이 컸다.

금융당국은 오는 2017년 말 이후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45% 이상,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40% 이상으로 유지한다는 목표를 세워 놓고 있다.

온라인뉴스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