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군지뢰 탓.
북한이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로 비무장지대(DMZ) 지뢰도발사건과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나선 가운데, SNS를 통해 이번 사건과 관련된 괴담들이 끊임없이 나돌고 있다.
이번 사건이 북한군 목함지뢰가 아니라 우리 군 지뢰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부터 우리 군의 자작극이라는 주장까지 난무하고 있다.
한 포털사이트 게시판에 16일 올라온 익명의 글은 “북한의 주장이 국방부의 해명보다 몇배는 합리적으로 보인다”며 국방부 합동조사단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또 다른 글은 “지뢰사건이 북한 소행이라는 증거가 있나”라며 “미국이 ‘북한 소행으로 몰아가라’고 하고 그에 충실히 따르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괴담들은 합동조사단이 조사 결과를 발표한 지난 10일 직후만 해도 별로 없었지만, 북한이 15일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로 남측 조사 결과를 반박한 이후 잇따라 올라왔다.
특히 북한이 담화에서 M-14 대인지뢰를 언급한 것을 계기로 이번 사건이 북한의 목함지뢰가 아니라 우리 군의 M-14 지뢰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도 나돌고 있다.
1980년대 최전방 수색대에서 복무했다는 익명의 누리꾼은 이번 사건이 “여름철 폭우 때마다 발생하던 전방 지역의 지뢰 휩쓸림 현상에 의한 통상적인 사고”라고 주장했다.
북한이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에서 이번 사건을 남측의 모략극으로 몰아붙인 것을 계기로 이번 사건이 자작극이라는 음모론까지 올라오고 있다.
익명의 누리꾼은 이번 사건으로 박근혜 정부가 국정원 해킹 의혹으로 인한 정치적 위기를 모면했다며 “이번 사태로 누가 더 이득을 봤는지 생각하면 (누구의 소행인지) 답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북한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 발표 이후 이같은 주장들이 잇따라 나온 점을 감안하면 담화가 괴담을 부추기는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괴담을 유포하는 누리꾼들은 북한의 주장에도 많은 허점이 있다는 점은 간과하고 있다.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는 합동조사단이 현장에서 수거한 구부러진 모양의 용수철과 공이의 사진을 공개했는데도, “폭발된 지뢰의 용수철이라면 적어도 부러졌거나 휘어들었어야 정상”이라며 “터진 용수철이 아무 일도 없은 듯이 생생하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사실관계와도 맞지 않는 일방적인 주장을 펼친 것이다.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당국의 발표에 대해 이론이 제기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북한의 일방적인 입장 발표를 계기로 근거 없는 괴담이 나도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사실과 조리에 맞게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대한 의문 제기는 받아들일 수 있지만 근거 없는 음모론 유포는 북한이 의도하는 ‘남남갈등’을 조장할 수 있는 만큼 자제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