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협위원장 일괄사퇴’ 헛구호?

국민공천제 기득권 방지 차원서 당론 채택했지만
이달 말 사퇴 시한 앞두고 신임위원장 선정 한창

▲ 당정청, 9월 정기국회 추진과제 협의 새누리당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오른쪽 부터), 황우여 사회부총리, 새누리당 김정훈 정책위의장, 원유철 원내대표, 최경환 사회부총리, 현정택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이 16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당정청 정책조정협의에서 9월 정기 국회 추진과제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이 오픈프라이머리(국민공천제) 도입과 관련, 기득권 방지 차원에서 채택했던 ‘당협위원장 일괄사퇴’ 당론이 거꾸로 가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4월 의원총회에서 예비선거일 180일 전까지 당협위원장의 일괄 사퇴를 규정한 혁신안을 당론으로 추인했지만 현실적으로 반대의 상황이 연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당 관계자는 “내년 4월 총선과 예비선거를 기준으로 하면 늦어도 이달 내에는 당협위원장들이 모두 사퇴해야 하지만 상황은 오히려 반대”라며 “사퇴는 커녕 기존 당협위원장이 공석인 이른바 ‘사고 당협’에 대한 신임 위원장 선정 절차가 한창이다”고 밝혔다.

경기도의 경우 오는 20일 이천 조직위원장(당협위원장) 후보 면접이 이뤄지고 고양 덕양갑 조직위원장도 공모가 결정돼 있다. 또한 당 보수혁신위원장을 맡아 ‘기득권 내려놓기’를 외치며 혁신안을 주도했던 김문수 전 경기지사는 최근 대구 수성갑 신임 당협위원장으로 선출됐다.

홍문종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3선·의정부을)과 윤춘모 도당 수석대변인(성남 수정) 등 도내 기존 당협위원장들도 재추대·재선출 소식이 속속 전해지고 있다.

당협위원장 일괄사퇴 등을 담은 당 혁신안은 아직 당헌·당규 개정 작업이 이뤄지지 않아 강제 의무는 아니다.

또한 관련 내용은 당내 예비경선의 공정성을 담보하자는 차원으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필수 선결조건이기 때문에 오픈프라이머리 논의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새누리당만 앞서 현직 당협위원장들을 모두 물러나게 할 경우 본선에서 조직 경쟁력이 훼손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도내 한 의원실은 “공정한 경선을 내세워 당협위원장이 조기에 사퇴할 경우 조직력이 와해될 수 있어 야당의 조직 대결에서 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