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0일 북한군의 서부전선 포격과 관련, ‘통합방위지원본부’를 설치하는 등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긴급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이날 도에 따르면 도는 상황 발생 직후인 오후 4시12분께 도청 신관 1층 상황실에 비상대비 위기대응상황실(9명)을 구성했으며 오후 6시30분부로 위기대응상황실을 ‘통합방위지원본부’로 격상해 비상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통합방위지원본부의 책임자는 김희겸 경기도 행정2부지사이다. 통합방위지원본부는 김 본부장 아래 종합상황, 총괄인력지원, 수송건설지원, 홍보지원, 정부주민통제기능, 보급급식지원, 의료구호지원, 통신전산지원 등 8개 반 46명으로 구성됐다.
본부는 주민대피 명령이 내려진 연천군·파주시·김포시와 연락망을 구축, 실시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수도군단에 설치된 군·경 정보작전 합동상황실과 긴밀한 협조 체제를 유지 중이다.
도 관계자는 “아직 연천·파주지역의 주민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며 “남경필 경기지사가 직접 본부로 나와 상황을 챙기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청 역시 북한 포격과 관련해 인천·경기·강원지방경찰청에 작전상황반을 운영하기로 했다. 작전상황반은 북한 포격 사태에 대해 군과 협조 체제를 유지하며 상황을 관리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연천·포천·동두천·강화 등의 지역에는 112 타격대 등 작전부대에 출동태세를 확립하도록 했으며 해당 지역 경찰서는 경계강화 발령을 내리는 것을 검토 중이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