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당국도 ‘北 리스크’ 촉각… 비상체제 가동

남북 간 고위급 대화가 진행되면서 우리 경제를 짓누르는 북한 리스크가 완화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3일 오후 재개되는 고위급 대화 결과에 따라 북한 리스크의 완화 정도가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은 채 북한의 이번 도발이 우리 경제 전반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기재부는 22일 최경환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긴급 간부회의를 연 데 이어 23일에도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했다. 특히 이날 오후에는 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금융·외환시장 상황과 외국 언론매체, 국제신용평가사, 외국 투자기관들의 움직임을 점검했다.

금융위도 별도로 대책회의를 열고 시장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금융위는 북한 리스크 등 대외변수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는 국내 자본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북한의 포격 도발 하루 뒤인 지난 21일 금융시장에서는 다소 급변동이 있었지만 실물 경제에는 이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난 21일 코스피는 2.01% 급락했고, 원달러 환율은 1천195.0원으로 9.9원 올라 2011년 9월26일의 1천195.8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포격 도발이 발생한 지난 20일 슈퍼마켓과 백화점 매출은 1년 전보다 7.3%와 9.3%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남북 고위급 대화를 계기로 북한 리스크는 일단 완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북한이 먼저 대화를 제의한 상황에서 대화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 당국은 고위급 대화로 북한 리스크가 완화되면 노동시장 등 4개 부문 구조 개혁 과제에 다시 집중하고 소비 진작 등 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