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혁신교육지구사업’ 존속 여부 놓고 마찰

시흥시 등 대응투자 요구

경기도교육청이 ‘경기도형 혁신교육지구사업’에 대해 사업 종료 검토 움직임을 보이자, 관련 지자체들이 사업 존속을 요구하는 등 마찰을 빚고 있다.

23일 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이재정 교육감은 지난 19일 6개 혁신교육지구 및 2개 교육협력지역 지자체장과 가진 간담회에서 협약기간 만료(내년 2월)에 따라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마무리하고 가칭 ‘미래교육도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사업을 지난 5년간 한시사업으로 추진했으나 교육청·지자체 간 매칭 형태의 재원분담이 어려워 사업지구 확대에 어려움이 있고, 사업비의 40% 이상이 교원업무지원 형태(인력지원사업)여서 비정규직 양산과 고용 불안을 유발해 현안으로 부상했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시흥, 오산 등 혁신교육지구 지자체에서는 기존 사업에 대한 학생·학부모들의 호응도와 만족도를 고려해 교육청의 지속적인 대응 투자를 요구하고 있다. 시흥시 한 관계자는 “이제와서 지원인력의 무기계약 전환 문제 때문에 사업 일몰을 일방적으로 통보해 난감하다”며 “학교현장과 지자체에 혼란이 없게 적절한 대안이 제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교육청은 지자체와 학부모 등이 참가하는 평가회를 통해 사업 존속 여부를 재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혁신교육지구사업은 공교육 혁신을 위해 지자체와 협력해 창의협동교육 시스템 구축, 혁신교육 일반화, 나눔과 배려의 학습공동체 실현 등을 목표로 추진됐으며, 지난 2011년 광명, 구리, 시흥, 안양, 오산, 의정부 등 6개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