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서 유치에만 혈안 ...지구대 개선은 ‘나몰라라’

지구대·파출소 상당수

정치권까지 가세하며 지역별로 경찰서 신설 움직임이 일고 있지만, 시민과 가장 접촉이 빈번한 경기도내 상당수 지구대와 파출소는 주차 공간조차 없어 치안업무에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23일 경기지방경찰청 등에 따르면 도내 31개 시·군에 설치된 경찰서는 총 41개로, 오는 2016~2017년까지 화성동탄, 남양주북부, 일산서부경찰서가 신설된다. 여기에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경찰서 유치전에 가세하면서 가칭 ‘수원팔달경찰서’, ‘평택북부경찰서’, ‘용인수지경찰서’ 신설 추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정치권의 경찰서 유치전이 한창이지만 정작 지역주민들과 대면 접촉하는 도내 318개 지구대·파출소 중 상당수는 주차공간 부족으로 순찰차까지 불법주정차를 일삼고 있는 실정이다.

수원 동부파출소는 뒤편에 2~3대의 주차 공간이 있지만 출입구가 비좁고, 외부차량이 입구를 막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파출소 앞 인도를 순찰차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긴급 상황 시 신속한 출동을 위한 것이지만 일부 주민들은 인도에 주차된 순찰차로 인해 통행에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어 시설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안양 인덕원지구대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바로 옆에 차량 2대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지만 진·출입이 어려운 탓에 지구대 앞 도로변에 선을 그어 순찰차 전용 주차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은 극심한 주차공간 부족으로 일부 민원인들은 돈을 내고 주변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순찰차를 2대 보유한 수원 율천파출소 역시 주차 가능 대수가 3대에 불과한데다 주차장이 도로 및 횡단보도와 인접해 있어 각종 안전문제까지 대두되고 있다. 도내 한 경찰 관계자는 “대부분의 지구대·파출소가 주차 공간이 부족해 순찰차 출동 등 임무 수행 시 어려움이 많다”며 “실제 치안력을 강화하려면 주민들과 직접 접촉하는 지구대·파출소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