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각층 “남북 화해 지속되길” 도발 ‘악순환 고리’ 이젠 끊어야 당당한 대북협상력 새로운 전기 北 불명확한 사과 ‘옥에 티’ 지적
25일 한반도 군사적 긴장 상황이 남북 간 공동합의문 타결로 마무리되자, 시민단체와 교육계, 법조계, 공직사회, 일반인들까지 모두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북한의 잇따른 도발행위를 원천적으로 뿌리뽑기 위한 방안도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0시30분께 남북 고위급 접촉이 공동합의문 채택에 따라 마무리되고 북한의 준전시체제와 남한의 대북 확성기 방송이 낮 12시 종료되면서 사회 각계각층에서는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최근 군대에 아들이 입대한 한 부모도 “얼마나 마음을 졸였던지 너무나 불안했다. 하필 아들이 군대가 있는 지금 왜 이런 일이 발생하나 하는 이기적인 생각도 들기도 했다”면서 “잘 해결 될 것이라고 믿었고 다행히 별 탈 없이 남북이 잘 합의해 안심이다”라고 말했다.
교육계와 법조계는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북한의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표현 등이 명확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나타냈다.
수원의 한 중학교 교장은 “북한의 유감 표명이 명확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흔쾌하지 않다”면서 “과거 (대북관계에서) 굴욕적인 저자세로 거짓된 평화가 지속됐는데 이번에는 정부가 오랜만에 대북 강공 드라이브를 펼치는 등 당당한 자세를 보인 점은 다행”이라고 말했다.
또 경기중앙지방변호사회 한 관계자는 “남북의 군사 대립으로 국민이 불안에 떨었지만 원만한 합의를 통해 잘 해결된 것 같다”면서도 “다만 합의문 내용 중 유감이라는 표현이 명확하지 않은 점과 포격 관련한 언급이 없어 아쉽다”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이날 발표한 논평에서 “남북이 일촉즉발의 군사적 대치 상황을 해소하고 대화와 협상을 이어가기로 합의한 것을 환영한다”면서도 “합의에 이르기까지 접경 지역 주민들이 불안에 떨어야 했다. 이런 위기상황이 재발하지 않도록 남북 대화를 정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자유총연맹도 “정부가 일관된 원칙을 고수함으로써 북한의 유감 표명 및 북한의 준전시상태 해제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앞으로도 이번과 같이 북한에 대해 공세적 전략을 펴 무모한 도발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군 당국에 촉구하기도 했다.
송우일·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