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7개 대학 하위등급 받아 수원대 “266억 투자 반영 안돼” 총장·보직교수 사퇴 등 후폭풍
교육부가 31일 발표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경기도내 7개 대학이 하위 그룹(D·E) 평가를 받은 가운데 수원대 등이 즉각 반발에 나섰다.
교육부는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일반대, 산업대, 전문대 등 총 298개교를 대상으로 교육여건, 학사관리, 학생지원, 교육성과 등 고등교육기관이 갖춰야 할 요소에 대한 종합 평가를 진행했다.
이 결과 경기지역 4년제 일반대학 가운데 강남대(D), 수원대(D), 루터대(E) 등 3곳과 전문대학인 김포대(D), 여주대(D), 수원과학대(D), 웅지세무대(E) 등 4곳이 하위 그룹인 D·E 등급을 받았다.
이에 하위등급 평가를 받은 각 대학은 긴급회의를 소집해 추후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D등급(학자금 대출 50% 제한)으로 분류된 수원대는 입장을 발표해 즉각 반발에 나섰다. 수원대학교 관계자는 “지난해 재정지원제한대학 평가를 받아 입학정원의 16% 감축 처분이라는 혹독한 처분을 수용했다”면서 “올해 건물 신축, 교과 과정 개편 등에 266억원을 투자하는 등 혁신 정책에 노력을 기울였는데 올해 성과가 평가에 전혀 반영되지 않아 납득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무엇보다 올해 구조개혁평가에 이미 평가된 2012년과 2013년 지표를 반영해 이중으로 제재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이번 발표가 고강도 개혁을 추진하는 대학의 발목을 잡아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수원대 보직교수 10여명은 이날 오후 긴급회의를 열어 교육부 평가에 책임을 지고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교육혁신위원회를 가동해 이번 결과가 학생들에게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 장학금 및 학자금 융자 관련, 신입생과 편입생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학이 전액 보전키로 결정했다.
수원과학대학교 역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성과로 나타나는 취업률은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만점을 획득할 정도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을 충실히 운영했다”며 “총장 등 보직교수 7명이 이번 평가에 책임을 지고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