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547개소 3천941㏊ 내달 실효

道도시공원특위 현장 토론회

오랜 기간 동안 사업을 집행하지 못해 실효 위기에 처한 경기도내 도시공원 조성 사업이 547개소, 3천941㏊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는 도 전체 미조성공원 면적의 30%를 차지해 관련 법령 개선은 물론 중앙정부의 적극적 예산지원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회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특별위원회(위원장 양근서)는 7일 과천 서울대공원내 치유의 숲에서 도 및 시·군 도시공원 담당자와 함께 현장 토론회를 갖고 중앙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강력 요구했다.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특위에 따르면 이날 현재, 경기도의 도시계획 결정된 공원은 6천17개소 2만2천892㏊이며 이중 미 조성율은 면적기준 59.3%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다음달 실효 예정인 미집행 도시공원은 547개소, 3천941㏊로 도 전체 미조성공원 면적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기미집행에 따른 현안 문제 등이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토지 소유자의 권리 실현 및 개발 사업 증가 요인이 증가하고 있는데다 이에 따른 사회적 대립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또 장기미집행에 따른 실효 이후 공원 조성의 어려움도 우려되고 있는 형국이다.

때문에 이날 토론회에서 대다수 시·군은 도시공원 조성을 위한 예산확보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중앙정부의 적극적 예산 지원 및 관계법령 정비 등을 요구했다.

도의회 양근서 도시공원 특위 위원장은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해제시 개발사업 증가로 녹색복지 하락 및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게 현실”이라며 “도와 시·군은 앞으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에 대해 상호 공동 보조를 취하도록 지원할 것이며 중앙정부와 국회에 이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과천 서울대공원내 치유의 숲에서 열린 토론회는 다음달 이후 시행되는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실효문제에 대해 도와 시군 관계자간 다양한 의견이 제시돼 눈길을 모았다.

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