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혁신위 “시민 100%로 국민공천단 구성”

“진정한 국민 참여 이룰 것” 신인·여성·장애인에 가산점

새정치민주연합이 내년 총선 경선에 참여할 선거인단을 100% 일반 시민으로 구성하는 국민공천단 도입 방안을 추진한다. 또 정치신인에게는 공천 심사에서 10%, 여성ㆍ장애인에게는 25%의 가산점을 부여키로 했다.

새정치연합 혁신위원회는 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은 내용이 담긴 10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김상곤 위원장은 “국민참여경선을 먼저 시작했던 우리 당은 안심번호 부여와 국민공천단을 통해 진정한 국민참여를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안심번호가 도입되지 않을 경우 국민공천단 70%, 권리당원 30% 비율로 선거인단을 구성키로 했다. 현재 일반시민과 권리당원의 구성 비율은 각각 60%, 40%다.

안심번호는 정당이 당내경선에 필요한 여론조사를 실시할 때 휴대전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드러나지 않도록 이동통신사업자가 임의의 전화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 제도 도입을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국회 정개특위를 통과한 상태다.

경선은 ARS와 현장투표를 혼합해 실시한 뒤 1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때 1~2위를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거치도록 했다. 국민공천단은 사전에 지역구별로 300~1천명의 선거인단을 꾸린 뒤 후보자 간 연설이나 토론회 등을 들은 다음에 투표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경선 투표를 희망하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오픈프라이머리와 차이가 있다.

혁신위는 도덕적 검증을 통과한 후보자에 대해 전원 경선을 기본 원칙으로 하면서도 후보 난립시에는 5배수로 압축한 뒤 경선을 실시토록 했다.

정치신인에게는 10%의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전·현직 국회의원 △기초단체장 △지역위원장 △광역의원 재선 이상 △국회의원 후보자로 추천됐던 자 △동일 선거구의 당내 경선에 2회 이상 참여자는 신인에서 제외된다.

여성·장애인에게는 현행 20%에서 25%의 가산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청년의 경우 △만 29세 이하 25% △만 30~35세 이하 20% △만 36~42세 15% 등 연령별로 차등화했다.

반면 임기의 75%를 마치지 않은 선출직 공직자가 공천을 신청할 경우 10%의 감점을 주기로 했다.

전략공천을 위해서는 외부인사가 50% 이상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토록 했다. 위원장은 최고위원회 의결로 당 대표가 임명하며 전략공천 비율은 20% 이내로 제한된다.

강해인ㆍ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