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또 다른 안전 사각지대

하천변 공원 이용자 늘지만 분리표시 등 안전장치 부족
충돌사고 해마다 꾸준히 ↑ 예산·환경 문제로 개선 난항

▲ 자전거와 보행자 겸용도로가 늘고 있으나안전조치가 미비해 자전거와 보행자간 충돌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7일 저녁 수원영통구 원천리천 산책로에서 자전거가 아슬아슬하게 보행자를 피해가고 있다.오승현기자

도심 지역의 하천변 체육공원들이 안전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이용하는 시민들의 안전사고 발생 우려(4일자 7면)가 제기된 가운데 자전거-보행자 겸용 도로도 분리표시 등 안전장치 없이 운영되면서 또 다른 안전 사각지대로 전락하고 있다.

7일 행정자치부와 도내 일선 지자체에 따르면 지자체들은 최근 자전거 이용인구와 걷기운동을 하는 인구 증가로 자전거도로를 보행로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도로에 보행로까지 더해지면서도 폭은 충분히 늘어나지 못한 채 아무런 안전장치도 마련되지 않아 보행자와 자전거 간 사고를 유발하고 있다.

수원 원천천변(연장 3㎞·폭 1.3m)은 도로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탓에 보행자와 자전거가 모두 도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3일에는 자전거를 타던 A군(14)이 이어폰을 끼고 걷던 30대 여성과 추돌, 여성의 다리가 자전거에 끼이는 일도 벌어졌다. 잇따른 사고로 민원이 계속되자 해당 구청은 이달 말까지 도로를 2.7m~3m까지 넓히기로 했다.

수원천변과 서호천변 역시 자전거-보행자 겸용 도로가 운영되면서 각종 안전사고가 계속되고 있다.

영통구청 관계자는 “보행로와 자전거 도로를 분리해달라는 민원이 많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용인시도 자전거-보행자 겸용 도로(연장 193.9㎞)를 운영하고 있지만, 도로 폭이 1.5m~2.5m에 그치면서 하루 10~20여건씩 충돌사고 등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용인시는 예산을 들여 확장에 나서기로 했지만 환경단체 등이 ‘도로가 분리되면 하천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다’고 반발하면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자전거-보행자 겸용 도로 전 구간에 자전거 속도를 20㎞ 이하로 제한, 특히 유동이 많은 지역에서 시속 10㎞ 이하로 제한을 두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자전거-보행자 겸용 도로 상에서 사고가 큰 폭으로 증가, 안전상 문제가 있는 곳 위주로 속도 제한을 두도록 하는 방안을 지자체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3년 183건에 머물렀던 도내 자전거 교통사고는 지난해 319건, 올 상반기 120건 등으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