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상봉 대상자 가족 동행 폭넓게 허용"
우리측 이산가족 상봉 적십자 실무접촉 수석대표를 맡은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은 8일 "국군포로 이산가족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일반 이산가족 명단이 200명이라면 국군포로 이산가족 명단 50명이 추가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실행위원은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가진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 결과 브리핑 직후 기자들과 만나 생사확인 의뢰대상자가 남측은 250명이고 북측은 200명인 이유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군포로 이산상봉을 신청한) 이들은 북쪽 가족이 확인되면 100% 상봉단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과거 이산가족 상봉 때도 유사한 방식으로 국군포로 및 납북자 생사확인을 북측에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2013년 8월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이 합의될 때도 생사확인 의뢰대상자는 남측이 250명, 북측이 200명이었다.
이 실행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 중 발언에 대한 북측의 불만 제기가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앞서 이 실행위원은 실무접촉 결과 브리핑에서 "이번 접촉은 지난 8월 25일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의 합의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남북 간 첫 만남이자, 이산가족들의 염원을 풀기 위한 인도적 문제들을 논의하는 자리인 만큼 남북한 모두 진지한 자세로 접촉에 임했다"고 전했다.
그는 "우리 측은 전면적 생사주소 확인을 위한 명단 교환, 상봉정례화, 서신교환 등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북측의 전향적인 태도변화를 촉구했다"면서 "반면에 북측은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대한 실무적 논의에 집중할 것을 주장했다"며 양측의 견해차가 있었음을 밝혔다.
이 실행위원은 "북한도 근본적인 (이산가족) 문제해결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같이했지만 이번에 회담에 나온 대표단이 실무 대표단이기 때문에 이러한 심도 있는 문제 협의를 위해서는 적십자 본회담을 개최하자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는 이번 8·25 합의에서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자는 취지에 합의했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합의서에 담자고 주장을 했고 거기에 관해서 충분히 협의하느라고 시간이 오래 걸렸다"며 실무접촉이 24시간 가까이 진행된 이유를 설명했다.
남북은 전체회의와 총 11차례의 수석대표 접촉을 통해 합의서 문안에 합의하고 종결 회의에서 최종 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실행위원은 이산가족 상봉 시기와 관련해서는 "우리 측은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인 만큼 가급적 빨리할 것을 제의했고, 북측은 추석 연휴도 있고 북측 내부의 행사도 있기 때문에 준비기간을 고려할 때 좀 늦추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을 해서 서로 합의에 이르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거동이 불편한 상봉 대상자는 1~2명의 가족이 동행할 수 있게 합의한 것에 대해서는 "과거에 동반가족이 (100명 기준) 50명이 갔다면 이번 이산가족 상봉에선 100명에 대해서 동반가족이 150명 정도는 갈 수 있다"며 "가족동반을 좀 더 폭넓게 허용하는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이 실행위원은 '북측이 수해 지원이나 금강산 관광 재개, 5·24 조체 해제 등을 주장했느냐'는 질문에는 "수해와 관련해서는 일절 언급이 없었다"며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과 관련해서 다른 문제와 연계해 우리한테 요구한 것은 일절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