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서울대 역사 교수들이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고 나서는 등 학계를 중심으로 반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회에서도 여야가 이 문제를 놓고 격돌했다.
서울대 국사학과, 역사교육과 등 역사 관련 5개 학과 교수 34명은 최근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전달했다.
이들은 의견서를 통해 “지금 우리나라 역사 교육에 필요한 건 역사 교과서 제작의 자율성을 좀 더 널리 허용하는 일이다. 교육부는 국정 욕심을 버리고 다양한 검정 교과서가 발행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쪽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똑같은 역사교재로 전국의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은 우리 사회의 역사적 상상력과 문화 창조 역량을 크게 위축시키고 민주주의는 물론 경제발전에도 장애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국역사교사모임 소속 교사 2천255명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한다는 내용을 담은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런 가운데, 국회에서도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놓고 국정감사현장에서 여야가 대립했다.
10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교육부 국정감사에선 정부와 새누리당이 추진하는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전환문제를 놓고 여야 의원들이 의견차를 보였다.
야당 의원들은 국정교과서가 역사를 왜곡할 수 있다며 국감 시작부터 거세게 반발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유기홍 의원은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한다는 기사가 연일 넘쳐나고 독립운동가 후손, 서울대 교수들을 비롯한 학계, 현장 역사교사, 시·도교육감까지 반대가 이어지고 있다. 국감을 정상적으로 진행하려면 과연 국정화 계획이 추진될 것인지, 아닌지 장관의 분명한 답변이 있어야 한다”며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추궁했다.
이에 대해 여당 의원들은 한국사 교과서의 편향성 논란을 해소하려면 국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은 국감 전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검정 교과서들에서 각각 다른 내용이 있어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한다”며 국정화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어 “상당수 교과서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평가도 인색하다. 대다수가 공감하는 시각과 역사서술 방법이 사회적으로 합의될 때까지 국가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중립적인 교과서를 책임지고 발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이달말까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전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