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하피첩 7억5천만원,월인석보 7억3천만원 낙찰

예금보험공사 내놓은 보물 고서적 18점 경매

▲ 보물 1683-2호 '하피첩'의 일부.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평창동 서울옥션 본사에서 열린 경매에 하피첩, 월인석보, 경국대전 등 보물 18점을 포함한 고서들이 출품됐다. 보물 제1683-2호인 정약용 필적 하피첩은 다산 정약용이 1810년 귀양지인 전남 강진에서 부인이 보내준 치맛감에 아들을 위해 쓴 편지를 모은 것이다. 이 고서는 최고가인 7억5천만원에 낙찰됐다.  서울옥션 제공

예금보험공사가 파산한 저축은행으로부터 받은 보물 고서적 18점에 대해 14일 진행된 서울옥션 제1차 고서경매에서 정약용 필적 하피첩이 최고가인 7억5천만원에 낙찰됐다.

보물 제1683-2호인 정약용 필적 하피첩은 다산 정약용이 1810년 귀양지인 전남 강진에서 부인이 보내준 치맛감에 아들을 위해 쓴 편지를 모은 것이다. 본래는 네 첩이었으나 하나는 사라지고 세 첩만 전한다.

정약용 필적 하피첩은 2억5천만원에서 시작해 5천만원 단위씩 가격이 올라간 뒤 7억5천만원에 최종가가 결정됐다. 이 고서적의 추정가는 3억5천만∼5억5천만원이었다.

하피첩과 함께 관심을 끈 또 다른 문화재인 월인석보 권9, 권10은 7억3천만원에 낙찰됐다.

조선 세조 5년(1459)에 간행된 월인석보는 훈민정음 창제 직후의 한글 사용례와 한글 서체의 변천 과정을 알 수 있는 문화재로 평가된다.

이외에도 경국대전 권3은 2억8천만원, 이한진 전예 경산전팔쌍절첩은 2억원,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는 1억7천만원에 판매됐다.

이번 경매에 나온 보물 고서적 18점은 모두 낙찰돼 100%의 응찰률을 보였으며, 낙찰 최저가는 대혜보각선사서의 1억500만원으로 모두 1억원 이상에 팔렸다.

이날 보물 고서적 경매에는 ▲ 국공립 미술관과 박물관 ▲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문화재단과 문화재단에 소속된 미술관 ▲ 종교재단(개인 재산으로 설립된 단체 제외) ▲ 사립 미술관과 박물관 ▲ 공공성을 띤 비영리기관과 단체만 응찰이 허용됐다.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