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혁신안 ‘반쪽 가결’
비주류, 의결 절차 반발하며 퇴장… 탈당·분당 가능성
文 “혁신은 이제 시작… 黨 단합·통합 위해 힘 쓰겠다”
새정치민주연합의 공천혁신안이 16일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고성이 오가는 혼란속에 의결됐다.
문재인 대표가 이번 혁신안이 부결되면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힌 바 있어 1차 관문은 통과한 셈이지만 비주류측에서 혁신안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중도에 퇴장하는 등 여파가 이어지고 있어 이번 혁신안 처리가 탈당이나 분당과 같은 사태를 촉발하는 도화선이 될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제2차 중앙위원회에서 지도체제 변경과 공천 관련 당헌 개정의 안을 중앙위원 571명 중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문 대표는 혁신안 통과 후 기자들과 만나 “혁신은 이제 시작이다. 당의 단합과 당 외부를 망라하는 통합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공천혁신안은 정치신인들에게 문턱을 낮춰줌으로써 현역의원들과 지역위원장의 기득권을 내려놓는 혁신안”이라며 “중앙위원들이 기득권을 내려놓고 다음 총선 승리를 위해 혁신안을 전폭적으로 받아준 것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공천혁신안은 안심번호제 도입을 전제로 국민공천단 10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고 도입되지 않을 시 국민공천단 70%에 권리당원 30%로 구성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정치신인에 대해 10%의 가산점을 부여하고 청년 후보자에 대해 만 29세 이하는 25%, 만 30세 이상 35세 이하는 20%, 만 36세 이상 42세 이하는 15%의 가산점을 주는 경선 가산점제와 임기 중 중도사퇴한 선출직 공직자에 대해서는 경선에서 자신이 받은 득표수의 10%를 감산하는 경선 감산제도 포함됐다.
이날 혁신안 처리에 따라 새정치연합은 내년 4월 총선 이후 현행 최고위원회를 해체하는 대신 11명의 대표위원회 체제로 전환된다. 대표위원회는 당대표 1인과 5개 권역의 대표 5인, 여성·청년·노동·민생의 각 분야 1명씩 대표 4인, 당연직 원내대표 1인 등 11명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날 의결에 대해 비주류측 인사들이 혁신안 내용은 물론 절차에 대해서도 집단 반발하고 있어 집당 탈당이라는 최악으로 치닫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집권을 위함 모임(민집모) 소속 의원 등 당내 일부 비주류 의원들은 의결에 앞서 ‘공개토론’과 ‘무기명투표’를 요구했지만 수용이 되지 않자 표결 전 퇴장했다.
이날 혁신안 의결에 대해 비주류 측 문병호 의원(인천 부평갑)은 회의장에서 퇴장한 뒤 “당 운영을 독선적으로 하는 밀어붙이기식에 동의할 수 없었다”며 “안건의 통과 절차에 중대한 하자가 있기 때문에 무효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동철 의원은 성명을 통해 “이번 혁신안은 7명 중 4명의 최고위원이 공천혁신안의 당무위 상정을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표가 일방적으로 의결한 것”이라며 “많은 중앙위원들이 퇴장했음에도 불구하고 표결 성립여부조차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건 통과를 일방적으로 선언한 민주적 절차도 묵살된 투표”라고 규정했다.
강해인ㆍ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