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점화스위치 결함 책임 인정.
외신이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인 제너럴 모터스(GM)가 자사 자동차의 점화 스위치 결함을 숨겨왔다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벌금 9억달러(1조508억 원)를 물기로 법무부와도 합의했다고 외신은 덧붙였다.
GM이 점화 스위치 결함을 적어도 10년 동안 숨겨왔다는 사실을 인정한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GM은 지난 2009년 파산을 신청했을 당시 파산 법원으로부터 얻어낸 ‘파산을 신청한 지난 2009년 이전의 일에 대해선 책임지지 않는다’는 결정을 근거로 책임을 회피해왔었다.
자사 자동차의 점화 스위치에 결함이 있다는 사실을 늦어도 2002년 당시부터 알고 있었는데도 최소 10년간 이를 쉬쉬해왔다는 사실이 이번 법무부 조사 과정에서 드러났다.
특히 GM은 지난 2004년부터 점화 스위치 결함 논란이 고객 등으로부터 제기됐는데도 이를 묵살해왔다.
이처럼 점화 스위치에 결함이 있는 자동차를 계속 판매, 지금까지 169명이 숨진 것으로 조사됐다.
GM은 앞으로 3년 동안 정부가 부과한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면 법무부가 조사하고 있는 사기와 은닉 등의 혐의에 대한 기소도 면제된다.
이와 함께 이번 점화 스위치 결함 등으로 제기된 민사소송과 관련, 배상금 5억7천500만달러(6천713억원)를 지급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번 벌금 납부과 배상금 지급 합의에도 점화 스위치 결함 문제와 연관된 관계자에 대한 기소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지진 않았다.
미국 법무부는 제너럴모터스가 점화 스위치 결함 논란이 발생했을 때 차량 한대당 1달러 정도의 비용을 들여 결함을 해결할 수 있었는데도 이를 의도적으로 묵살했다고 지적했다.
GM은 지난해초 점화 스위치 결함문제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이후 지난해 무려 3천만대에 가까운 사상 최대 규모의 리콜을 한 바 있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