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희 광주 남한산성문화관광 해설사
“역사는 부끄러운 것이 아닙니다. 잊어서도 안 되고 함부로 해서도 안됩니다. 아픈 역사는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재발 방지를 위해 힘써야 합니다”
지난 2009년부터 7년째 남한산성에서 광주시문화관광 해설사로 활동하고 있는 김진희 해설사(66)의 말이다. 특별한 계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우연히 본 TV 속 해설사의 모습은 많은 것을 변하게 했다. 유아교육을 전공해 수십 년간 어린이들과 함께했던 그였지만 운영하던 피아노 학원마저 접고 해설사로서의 역할에 전념하고 있다.
김씨는 “처음에는 나이 탓에 산을 오르는 일이 버겁고 잘못된 내용을 전달하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도 있었지만, 설명에 귀 기울이고 호응을 보이는 사람들을 보며 자신감을 얻었다”라고 말한다. 해설사가 되기 위해 문화와 관광, 유산 등 경기도와 광주시 등에서 진행하는 교육을 수료해야 한다. 해설사가 된 이후에도 매년 꾸준히 교육을 받아야 한다.
한번 해설을 나가면 1~2시간 동안은 산을 오르며 쉼 없이 해설을 이어가야 한다. 관광객들이 몰리는 봄 가을이면 쉴 틈이 없다. 특히 남한산성 문화제가 열리는 10월이면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 행사가 열리는 15일~18일까지 사흘 동안에만 약 12만 명의 관광객이 남한산성을 다녀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김씨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관광객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해설사 증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한다. 남한산성에는 40대부터 8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활동을 하고 있다.
김씨를 비롯한 14명의 해설사들은 매일 적게는 1~2번, 많게는 4~5번씩 해설을 위해 헌절사와 연무관, 침궤정, 서문, 수어장대, 남문, 제1·2남옹성 코스를 오른다. 해설은 10인 이상의 사전 인터넷 예약을 받아 진행한다.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생태 해설을 병행한다. 풀과 나무, 곤충, 환경에 대한 해설을 진행한다. 아이들은 물론, 엄마와 선생님들이 좋아한다. 요청이 있을 때는 생태지도자 자격증을 보유한 5명의 해설사가 학교에 가서 역사를 겸함 1일 생태 수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해를 거듭 할 수로 요청 횟수가 늘어나고 있다.
김씨는 “해설을 통해 ‘역사는 재밌다, 즐겁다’라는 인식을 갖고 남한산성을 다시 찾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라며 “남한산성에 대한 해설을 하다 보면 간혹 굴욕의 역사를 간직한 곳이라는 좋지 않은 인식을 가진 분들은 만나곤 하는데,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성내에는 단 한차례도 외세가 발을 들여 놓지 못했다는 것도 기억해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