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관제인력 태부족

1인당 192대 담당… 방범용은 화질도 떨어져 ‘시민 안전’ 사각지대 우려

경기도가 관리중인 CCTV통합관제 센터의 인력이 부족하고 방범용 CCTV의 화질이 떨어져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에 따르면 각 지자체는 범죄예방, 쓰레기투기 방지, 주차관리, 재난 화재감시 등을 목적으로 설치한 공공 CCTV의 효율적인 운영과 각종 사건사고에 신속 대응을 위해 CCTV통합관제센터를 구축·운영 중이다.

경기도는 22곳의 통합관제센터를 운영 중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3만974대의 CCTV를 관리하고 있다.

문제는 1인당 관제 CCTV 대수가 192대로 지나치게 많다는 점이다. 행자부의 ‘지자체 영상정보처리기기 통합센터 구축 및 운영규정’에 따르면 관제인력의 인력산정은 1인당 50대의 모니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도는 3.8배에 달해 감시의 사각지대가 나올 우려를 낳고 있다.

또 도가 운영중인 방범용 화소별 CCTV의 40.9%가 100만 화소 미만으로 근거리 식별만 가능해 고화질카메라로 교체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100만 화소 미만의 CCTV는 근거리를 제외하고는 낮에도 정확한 사물 식별이 어려우며 야간에는 CCTV에서 5m만 떨어져도 사람의 얼굴조차 알아볼 수 없어 강력범죄 발생 시 초동수사에 도움을 주기 어려운 실정이다.

신 의원은 “오원춘·박춘풍 사건 등 강력 범죄로 인한 경기도민들의 불안이 높은 상황”이라며 “CCTV 통합관제센터의 모니터링 관제요원 인건비 등 운영비와 방범용 저화질 CCTV교체에 상당한 예산이 필요한 만큼 경기도는 관계부처와 협의해 재원확보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