徐 “대표가 黨 주인 아니다… 이제는 용서 안해” 金 “상향식 공천 약속만 지켜지면 싸울 일 없어”
새누리당 1·2인자인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7선·화성갑)이 5일 공개 회의석상에서 ‘공천 룰’을 놓고 정면으로 충돌했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수면밑으로 가라앉았으나 김 대표가 한 조간신문 보도에서 ‘우선공천제’를 언급한 부분이 논란이 됐다. 김 대표와 서 최고위원의 논란 여파로 이날 최고위에서 의결하기로 했던 ‘공천방식 논의를 위한 특별기구’ 출범도 무산됐다.
서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대표가) 모 일간지 1면 머리기사에 우선공천제 이야기를 왜 말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아침 신문을 보면 ‘우선추천제는 고려할 수 있다’고 당헌당규에 있는 것을 대표가 떡 주무르듯이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표현 자체가 잘못된 것이고 오해를 불러일으킨다”고 비판했다.
그는 “당은 대표가 주인이 아니다. 당헌·당규에도 당원이 주인으로 돼 있다”며 김 대표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합의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해서도 “누구 지시에 의해서, 누굴 위해서, 당에서 하나도 논의 안 된 것을 법제화하려는지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그는 “당이 이렇게 움직여선 안된다. 1년간 지켜봤다”면서 “이런 쓸데없는 문제를 부각시켜서 긁어 부스럼을 만들며 당 운영하는 게 좋은가. 이제는 용서 안 하겠다. 절대 개인이 마음대로 하는 그런 당에서는 제가 목소리를 높일 것이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공개비공개 발언을 구분해달라고 부탁했는데 이게 잘 지켜지지 않아 아쉽다”며 “전략공천의 폐해를 경험했기에 이를 없애고 정치적 소수자와 경쟁력 낮은 지역, 취약지역 같은 데에 우선추천을 할 수 있게 하자는 설명을 했을 따름이다. 언론사에서 보도된 것까지 책임질 일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 대표는 이어 “당헌·당규대로 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 이미 많은 과정을 거쳐서 당론으로 정해진 상향식 공천, 공천권을 국민에 돌려준다는 약속만 지켜지면 싸울 일도 없고 다른 문제도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서 최고위원이 “나도 공개·비공개 구분하는데 김 대표가 언론 플레이를 너무 자주 한다”고 반격했고 이에 김 대표가 “그만 하자”고 불편함 심경을 피력, 회의는 서둘러 비공개로 전환됐다.
이어진 비공개회의에서 20대 총선 공천 방식 논의를 위한 특별기구 구성 문제를 논의했지만 계파간 이해가 충돌하면서 의결되지 못했다. 참석자들은 위원장을 비롯한 위원에 누가 포함되느냐를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