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2010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추진 정책에 대해 중소기업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6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대기업 협력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에 대한 체감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38.3%의 기업이 동반성장 인식이 개선됐다고 응답했다.
기업 현장에서 체감하는 동반성장 여건에 대해서도 중소기업 36.4%가 개선됐다고 답변해 악화됐다(6.6%)는 응답보다 많았다.
동반성장 여건이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61.5%가 ‘현금결제 확대, 결제기간 단축 등 결제조건 개선’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교육 및 기술 지원 등 협력사 경쟁력 제고 노력’ (40.4%), ‘생산적 파트너십(소통) 강화’(26.6%) 등 순이었다.
다만 대기업의 직접적인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추진 노력에 대해서는 28.3%만이 긍정적으로 평가해 대조를 이뤘다. 그 이유로는 원자재가격 인상분 납품단가 미반영(61.8%ㆍ복수응답), 부당한 기술자료 요구 및 납품단가 인하(22.5%), 결제조건 악화(20.9%) 등불공정거래가 차지했다.
이에 기업들은 지속적인 동반성장 추진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51.8%)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소한섭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지난 5년간의 동반성장 정책이 중소기업들에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동반성장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적 노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