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요금이 지난 6월 2천원에서 2천400원으로 400원 인상됐다. 매일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게 하루 800원의 요금 인상은 적지않은 부담이다. 하지만 광역버스는 여전히 입석 운행 중이다.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광역버스에서 서서 간다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사고라도 나면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
경기도가 승객 안전 및 편의를 위해 요금인상, 증차 등의 방법으로 도입한 광역버스 입석금지 행정이 겉돌고 있다. 버스요금 인상은, 결과적으로 입석금지를 핑계로 버스업체 이익만 챙겨준 꼴이 됐다.
도는 지난 6월 정부의 입석금지 조치에 따라 모든 승객이 앉아서 출퇴근하도록 광역버스 운행대수를 늘리고 그 손실 보전을 위해 400원(20%) 인상안을 최종 승인했다. 이후 190대의 광역버스를 증차했다. 하지만 수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입석운행이 근절되지 않고 있다. 특히 출근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7시30분까지 도내 주요 거점에선 대부분의 차량이 입석상태로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도는 요금인상 이후 운행실태 파악은 물론 입석금지 단속을 한 차례도 하지 않았다. 입석금지 명목으로 400원의 요금만 올려 업체의 배만 불려주고 도민의 안전과 편의는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국정감사에서 광역버스 좌석제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이언주 의원(새정치ㆍ광명을)은 입석을 줄이기 위해 좌석을 좁게 재배치해 불편하기 짝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아직도 이용객의 10.7%는 서서 가고, 본래 39석 버스의 좌석을 재배치하면서 앞뒤 공간이 좁아져 49인승의 경우 등받이에서 앞좌석까지 거리가 안전기준 65㎝에 못 미치는 55㎝다. 경기도민이 무슨 짐짝인가”라고 질타했다.
광역버스 요금 인상이 승객 안전과 편의를 위한 것이라지만 어느 것 하나도 해결되지 않았다. 도는 모든 승객이 안전하게 출퇴근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더 많은 좌석 확보를 위해 외국에서 주로 관광용으로 쓰는 2층 버스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라는데 전문가들은 안전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도의 광역버스 입석금지 대책은 모두 버스 증차에만 치우쳐 있다. 버스 증차는 출퇴근시간 버스의 열차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교통체증을 가중시키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철도 수송 분담율을 높이는 등 폭넓은 대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