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폐합 대상 ‘인천문화재단’ 조직신설 추진… 역주행 市政

스스로 명분 저버린 인천시

당초 재정난 긴축재정 불가피론 내세워 연구분야 3개 공공기관 통폐합안 무색

사무총장직·문화정책실 신설방안 검토 고위직 공무원 자리챙기기 우려 목소리

인천시가 인천문화재단의 기획, 정책 기능 강화를 목적으로 조직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다.

 

그러나 시가 인천문화재단을 포함해 공공기관 통폐합 방안을 추진하고 있고, 예산 부족으로 긴축재정을 하는 상황에서 부서나 고위직급을 신설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시는 7일 인천문화재단 대표이사 밑으로 사무총장직을 신설하거나 별도의 문화정책실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최근 인천문화재단 이사회 간담회를 열고 조직 개편안을 협의했다. 시는 재단의 사무를 총괄하면서 대외협력 업무 등 대표이사와 역할을 분담할 수 있는 사무총장직을 새로 만들거나 인천의 문화가치를 발굴하고 정책개발 역할을 맡을 문화정책실을 두는 쪽으로 개편안을 마련하고 있다.

 

시는 재단이 자체적인 문화정책이나 기획이 부족하고 국·시비 위탁업무 비중이 너무 커 정책개발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시는 인천문화재단과 인천발전연구원, 강화고려역사재단 등 연구 분야 3개 기관을 통폐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통폐합 여부가 확실치 않은 상황에서 재단에 부서나 고위직급을 새로 만든다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많다.

 

또 시가 예산 부족 등으로 긴축재정을 하고 있고, 예산절감 등 혁신방안 일환으로 통폐합 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조직 신설은 혁신안과 엇박자라는 지적도 있다. 일각에서는 사무총장 직급이 신설될 경우 자칫 시 고위직 공무원 자리 만들기가 될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재단 이사회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재단은 그동안 자체적인 정책사업을 추진할 역량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와 개편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라며 “개편안은 확정된 것이 아니라 이사회 등과 협의하고 있는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