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사업은 지난 2007년 김포한강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확정에 따라 김포 한강신도시~김포공항간(23.63㎞) 경전철 1개 노선을 건설하는 사업현장으로 2018년 10월 준공, 11월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에 있다.
당초 김포도시철도는 고가(高架) 형태로 계획됐으며 전체 사업비는 LH 부담금(1조2천억원) 협약에 따라 김포시의 부담 없이 총 사업비 1조1천863억원으로 추진됐다. 하지만 지난 2012년 3월 전(全)구간 지하(地下) 건설을 골자로 한 기본계획변경 승인에 따라 김포시의 추가 부담금(3천086억원)이 발생됐으며 현재 경기도에 총공사비의 10%인 300억원의 도비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김포시는 그러나 도시철도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조속한 사업추진만을 고려한 나머지, 2011년 9월, 도비가 필요치 않는다는 내용의 확약서를 제출함에 따라 용인이나 의정부 경전철 사업처럼 건설비에 대해 도비지원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송영만 위원장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고, 경제적인 무인도시철도시스템이 잘 완공돼 도민들의 편안한 발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장브리핑에는 조승현ㆍ김시용ㆍ김준현 도의원이 참석, 건설교통위원회의 김포지역에 대한 관심을 당부했다.
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