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한글 반포 569주년인 올해 외국학교에서 한글을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로 가르치고 있는 나라와 학교, 학생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 의원(인천 남동을)이 8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글을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로 가르치고 있는 나라가 2010년 21개국에서 2011년 22개국, 2012년 25개국, 2013년 24개국, 2014년 26개국으로 늘어났다.
한글을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로 가르치는 학교수는 2010년 540개, 2011년 695개, 2012년 827개, 2013년 1천53개, 2014년 1천111개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학생수는 5만7천464명, 6만4천611명, 7만7천712명, 8만6천415명, 9만3천144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에 대한 지원 사업 규모는 2011년 28억, 2012년 30억, 2013년 35억까지 늘었다가 2014년 35억이었고 올해 33억으로 점점 줄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윤 의원은 “한글의 우수성과 위상이 점점 높아져 이제는 전 세계 26개국 1천111개 학교에서 9만3천144명의 학생이 한글을 배우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경제적 위상 증대와 K-POP, 한국 드라마 등 한국의 대중문화가 널리 퍼지면서 외국의 일반인 및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