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투자매력.
올해 3분기 자산의 투자 매력 상승 면에서 한국의 투자매력이 신흥국들 가운데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다.
11일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3분기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비중 변화 등 투자매력에서 한국은 0.498%포인트 올라 신흥 31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중국 주식시장 동요, 예고된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신흥국 금융시장이 요동친 와중에도 한국 자산은 상대적으로 투자 매력이 크다는 점을 인정받은 셈이다.
IIF는 시장정보업체 EPFR의 유동성 유출입 집계 등을 토대로 각국의 비중 변화를 분석했다.
한국에 이어 남아프리카공화국(0.438%p), 인도(0.414%p), 멕시코(0.376%p), 폴란드(0.301%p)가 2∼5위에 올랐다.
필리핀(0.054%p), 말레이시아(0.037%p), 러시아(0.023%p), 레바논(0.005%p) 등은 비중 변화폭이 적었다.
31개국 가운데 9개국은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에서 비중이 줄어들었다.
중국이 2.174%포인트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지난 8월11일 위안화 가치를 갑자기 절하하면서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진 점이 악재로 작용된 것으로 분석된다.
브라질(-0.934%p), 인도네시아(-0.284%p), 터키(-0.116%p) 등 통화 가치가 급락한 국가들도 투자 매력이 떨어졌다.
이들 국가와는 달리, 한국에 대한 투자 비중이 올라간 것은 자금 유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