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기본 계획안을 발표했다. 지역 주민들에게는 더없이 기대되는 교통 인프라다. 세부적인 노선, 경유 역의 위치 등에 대한 관심이 크다. 지역 주민들 사이엔 ‘내 지역을 통과해야 하고, 내 지역에 역이 설치돼야 한다’는 요구가 팽배하다. 지역 정치인들이 이 여론에 비판 없이 올라탔다. 앞다퉈 탄원서 냈고 서명운동했다. 그 결과 계획안은 노선과 경유 역을 당초 구상보다 대폭 늘렸다.
해당 지역 국회의원들의 ‘전철 홍보’ 현수막이 길거리를 뒤덮었다. 흥덕지구가 포함되면서 용인지역 정치인이 대대적인 홍보전에 나서고 있다. 수원 영통 국회의원도 사업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수원 장안구가 특히 요란하다. 새누리당 당원협의회,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새누리당 국회의원이 내 건 현수막들이 어지럽게 섞여 있다. 저마다 전철 사업의 기획자, 추진자, 확보자라며 ‘전철 공(功)’을 자랑하고 있다.
어이가 없다. 국토부가 밝힌 이번 계획안은 한 마디로 ‘미친 노선’이다. 수원지역에서만 7번 선다. 역 간 거리가 1~2㎞에 불과한 곳도 있다. 출발하자마자 다시 서야 하는 전철이다. 당초 계획에 없던 노선으로 우회하는 수정 노선도 더해졌다. 거리는 크게 늘어났고 경유 시간도 그만큼 길어졌다. 노선 연장으로 인한 예산 증가도 불 보듯하다. 자칫 공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한 마디로 정치가 망가뜨린 노선이다.
물론 정치의 이런 짓이 처음은 아니다. 중요 국가사업 때마다 반복돼 왔다. 그 예가 분당선이다. 지역 국회의원들의 과도한 요구로 뒤죽박죽됐다. 노선과 경유 역이 턱 없이 늘어났다. 2㎞ 남짓한 지역에 3개의 역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서울 진입까지 20개가 넘는 경유 역이 생겨났다. 기능을 제대로 할 리 없었다. 개통부터 ‘버스보다 더딘 전철’이라는 오명을 썼다. 기대했던 지가 상승도 없었고, 상권 활성화도 없었다.
이렇게 실패한 역사가 지금 인덕원~수원복선전철 사업에서 재연되고 있다. 또다시 노선을 망가뜨려 100년짜리 애물단지를 만들려 하고 있다.
이래서야 되겠는가. 바꿔야 한다. 교통 흐름을 저해하는 경유 역은 빼야 한다. 전체 사업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과도한 노선은 철회해야 한다. 정치인에게 요구하려는 것은 아니다. 어차피 백년대계보다 6개월 뒤 표를 선택한 사람들이다. 사업의 시행처인 국토부에 요구하는 바이다. 당초 구상대로 모든 걸 돌려놓기 바란다. 기본 계획안은 언제든 바뀔 수 있는 기본 구상일 뿐이다. 그 환원의 시점은 내년 총선 이후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