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역사내 최소인력 배치 결정 운영인력 413명으로 잠정 확정
인천도시철도 2호선이 무인역사 운행계획으로 안전성 논란(본보 7월 8일 자 3면)이 일자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가 무인역사 운행을 철회하고 역사 내 최소인력을 배치하기로 잠정 결정했다.
시는 지난 8월 인천발전연구원의 ‘인천도시철도 2호선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적정 인력 산정 연구’ 중간발표 결과에 따라 인천지하철 2호선 운영인력을 413명으로 잠정 확정하고 공사 노조 등과 노·사·정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12일 밝혔다.
시와 교통공사는 당초 2호선 전동차 및 역사의 완전 무인화를 통해 263명을 근무하도록 계획했지만,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계획을 조정했다.
이에 따라 시와 교통공사는 2호선 24개 역사에 모두 130명을 근무시키기로 했다. 이 중 66명가량을 기관사 자격증을 지닌 근무자로 편성, 최소한 2개 역당 1명은 기관사 자격증 소지 근무자가 상시 근무하도록 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로 했다.
또 개통 후 3~6개월간 퇴직 기관사를 안전요원으로 전동차에 탑승시키는 한시적 유인 승무로 시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인천교통공사 노동조합과 시민사회단체 등은 여전히 이용 승객 증가에 따른 증차 문제와 교통약자 배려 대책 마련을 주장하고 있는 등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날 열린 ‘안전한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을 위한 집중토론회’에서 김대영 인천교통공사 노조위원장은 “현재 계획을 보면 기술부서를 2개 파트만 운영하기로 했는데 운영은 가능할지 몰라도 안전문제는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인력 및 증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충분한 논의와 합리적 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도 “검암, 주안역 등 환승역사 내 이용객 혼잡이 극에 달하면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이용이 불가능할 것”이라며 “개통 전 시험운전 과정에서 교통약자를 위한 현장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차경원 시 교통정책팀장은 “2호선 개통 이후 하루 26만 명이 이용한다는 분석이 나오기는 했지만, 타지역 개통 초기 현황을 보면 예상 이용객의 50%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민하고 있지만, 시 재정과 동떨어져서 인력을 편성할 수는 없다. 2호선은 증편선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승객 혼잡문제가 발생하면 개통 이후 바로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