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 단체도 ‘충돌’

교총 “국정화 통해 올바른 역사 정립을”
전교조 “독재 옹호하는 교육 수용 불가”

정부가 12일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확정 방침을 발표한 가운데 역사 논쟁을 둘러싼 교원 단체 간 의견 대립이 고조되는 등 후폭풍이 일고 있다.

 

보수성향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미래 세대와 현 세대의 올바른 역사관 함양을 위해 균형 잡힌 국정교과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동석 교총 대변인은 “사실적 지식을 학습해야 해석적 지식과 비판적 지식이 확장되는데 그동안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념갈등 논란이 많았다”면서 “역사학적 관점이 아닌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과정을 통해 올바른 역사교육 내용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교총은 교육 문제가 정치적·학문적 논쟁이나 이념적 대립·갈등으로 확장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공정성 있는 집필 기준을 마련하고 집필진 구성 시 각계 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반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경기지부는 국정교과서가 독재정권 미화의 도구로 오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쳤다. 김석권 전교조 경기지부 정책실장은 “역사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해석과 평가의 반영이며 하나의 해석에 따른 하나의 교과서로 온전하게 학습 될 수 없는 것”이라며 “국정 교과서 확정은 친일과 독재에 대한 비판의식을 마비시키고 미래세대를 정권에 맹종하는 인간으로 교화시키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그러면서 “친일을 미화하고 독재를 옹호하는 교육을 지켜볼 수 없다”며 “학생들이 자율적·주체적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올바른 역사교육과 민주시민교육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재정 경기도교육감도 성명을 내고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방침은 1974년 유신시대로 돌아가는 역사의 퇴행이며 역사교육의 파행을 초래하고 역사교육을 근본적으로 훼손하게 될 것”이라며 “교육적 차원에서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